‘속담’을 통한 상상력의 구조에 관한 조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9 23:45
본문
Download : ‘속담’을 통한 상상력의 구조에 관한 조명.hwp
그에 의하면 인간의 상상계란 레비 스트로스와 폴 리쾨르가 분리시켜 놓은 두 영역(구조-의미)을 동시에 아우르는 것이다. 이러한 …(skip)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순서
Download : ‘속담’을 통한 상상력의 구조에 관한 조명.hwp( 39 )
다.
‘속담’을 통한 상상력의 구조에 관한 조명



상상력의 구조적 관점에서 속담에 대한 분석을 해보았다‘속담’을통한상상력의구조에관한조명 , ‘속담’을 통한 상상력의 구조에 관한 조명인문사회레포트 ,
상상력의 구조적 관점에서 속담에 대한 analysis(분석) 을 해보았다
‘속담’을통한상상력의구조에관한조명
이야기를 처음 하기에 앞서, 이제 전개할 이야기의 중심이 될 ‘상상력의 구조’ 라는 定義(정의) 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간단히 說明(설명) 하자면, 이는 질베르 뒤랑이 말하는 ‘상상적 구조’로서, ⅰ)레비 스트로스의 사회적 기능에 입각한 내재적 형식 탐구로서의 인류학적 구조주의와, ⅱ)언어적 표현 너머에 있는 의미를 탐구하는데 몰두한 폴 리쾨르의 해석학을 종합하고 그것을 뛰어넘는 定義(정의) 이다. 예를 들어서 우리나라에서는 무척 쉬운 일을 표현할 때, ‘누워서 떡 먹기’, ‘혹은 식은 죽 먹기’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상상력의 구조’와 관련하여 뒤랑이 제시하는 『이미지들의 동위적 분류도』에 맞추어 ‘속담’에 관해 이야기해보고자 함은, 상징성의 백미인 속담이 가지는 인류 보편적인 상징성 때문일것이다 레비 스트로스가 “인류는 항상 똑같이 잘 생각해 왔다”라는 발언에 대해 가장 확연한 근거가 되어주는 실례가 바로 이 ‘속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