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시조구태묘의 성립과 계승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6 02:52
본문
Download : 백제 시조구태묘의 성립과 계승.hwp
이와는 달리 고이를 단지 온조의 방계로 보는 설도 있어 선뜻 어느 쪽을 취신해야 할지 의문이다. 한편 고이왕은 초고의 장자 사반이 사위하였지만 어려서 정사를 볼 수 없었으므로 고이가 즉위하였다고 한다.
,인문사회,레포트






구태가 백제사상의 실질적인 건국주였다고 하면 과연 어떤 인물을 지칭하는가 하는 데에 관심이 모아지는데, 구태를 고이왕에 비정하는 설이 가장 주목...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구태가 백제사상의 실질적인 건국주였다고 하면 과연 어떤 인물을 지칭하는가 하는 데에 관심이 모아지는데, 구태를 고이왕에 비정하는 설이 가장 주목... , 백제 시조구태묘의 성립과 계승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백제 시조구태묘의 성립과 계승.hwp( 42 )
백제 시조구태묘의 성립과 계승
순서
구태가 백제사상의 실질적인 건국주였다고 하면 과연 어떤 인물을 지칭하는가 하는 데에 관심이 모아지는데, 구태를 고이왕에 비정하는 설이 가장 주목을 받아왔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구태를 고이왕에 연결시킬만한 직접적인 data(資料)는 없다. {삼국유사}에서는 고이왕의 즉위는 사반(사비)이 즉위하였다가 폐위된 뒤에 이루어졌다고 하기도 하며, 사반이 돌아간 뒤에 즉…(省略)
다. 다만, {삼국사기} 기록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그 개연성을 다소 찾아낼 수 있다
먼저 {삼국사기}에서는 고이왕에 대해 초고왕의 [모제]라고 하였는데, 이를 동모제로 읽을 경우에는 그가 개루왕의 아들이 되는 셈이다. 그렇다면, 개루왕이 죽은 해인 166년에 고이왕이 출생하였다 하더라도 286년 그의 사망시에는 무려 120세나 된다 이같은 일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것이기 문에 고이왕의 계보를 온조-초고계와는 다른 비류계라고 하는 설이 제기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