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투기에 대상으로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3 14:27
본문
Download : 해양투기에 대해서.pptx
② 비소화합물, 사이안화합물, 플루오린화합물 등에 대한 해양투기 및 해상소각은 사전의 특별 허가를 받아야 한다.레포트/기타
Download : 해양투기에 대해서.pptx( 11 )
_SLIDE_1_
해양투기
_SLIDE_2_
목 차
_SLIDE_3_
해양투기란?
해양투입. 선박, 航空(항공) 기 또는 기타 인공구조물에서 배출되는 폐기물뿐만 아니라 선박 또는 인공구조물 자체를 고의적으로 해상에서 처분하는 것
_SLIDE_4_
우리나라에서의 해양투기
_SLIDE_5_
해양투기에 관한 규제
폐기물해양투기제도
육상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해양 배출하는 경우, 배출계획에 상대하여 국토해양부 장관의 허가 및 해양경찰청의 배출 확인을 의무화하는 제도
_SLIDE_6_
해양투기에 관한 규제
확산식처리방법에 의하여 배출하여야 하는 폐기물
- 하수오니, 음폐수, 가축분뇨 등 액상 폐기물
집중식처리방법에 의하여 배출하여야 하는 폐기물
- 준설물 등 고상 폐기물
그 밖에 국제협약에서 해양배출이 허용되는 폐기물
육상 폐기물을 해양에 배출할 수 없지만,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폐기물에 한해 해양environment(환경) 의 보전ㆍ관리에 影響을 미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육상에서 처리가 곤란한 폐기물 배출
해양environment(환경) 관리법 제23조
_SLIDE_…(省略)
① 유기할로젠화합물, 수은화합물, 높은 오염 수준의 방사성 폐기물 등 규정된 규제물질의 해양투기 및 해양소각은 원칙적으로 금지한다. 단, 유기할로젠화합물 및 기름에 대하여는 특별 허가에 의해 해상소각이 가능하다. 기타의 규제물질은 사전에 일반 허가를 받으면 해양투기 및 해상소각을 할 수 있다아
③ 해양투기 가능기준 설정에서 고려하여야 할 폐기물의 속성 , 투기 장소의 속성 등을 정하고 있다아
1. 유해 플랑크톤 대번식(적조 발생)
해양투기에 대상으로하여
설명
해양투기에 대해서 , 해양투기에 대해서기타레포트 , 해양투기 대해서
해양투기에 대상으로하여
해양투기,대해서,기타,레포트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