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비통제정책의 槪念정립과 발전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08 22:13
본문
Download : 군비통제정책의 개념정립과 발전방향.hwp
첫 번째 경우의 주장은 군축이 군비통제라는 용어가 등장하기 이전부터 통용되어 왔으므로 군축을 군비통제를 포함하는 총칭적 개념(槪念)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주장이었으며, 이러한 견해는 UN을 비롯한 국제기관들과 구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국가, 제3세계국가 및 국제정치 학자들이 견지해 온 입장이다.
순서






군비통제정책의 槪念정립과 발전방향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군축`과 `군비통제` 용어는 지금까지 학자와 관련기관에 따라 서로 다른 槪念과 의미로 사용되어 온 실정이다. 특히 UN에서 군축이란 용어를 관행상 모든 종류의 무기감축 및 제한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槪念)으로 사용해 왔을 뿐만 아니라, 1978년 군축특별총회(Special Session on Disarmament : SSOD) 최종문서에서 `군축을 일반 완전 핵군축(General and Complete Nuclear Disarma…(skip)
`군축`과 `군비통제` 용어는 지금까지 학자와 관련기관에 따라 서로 다른 개념과 의미로 사용되어 온 실정이다.
이 두 용어의 개념(槪念)규정은 일반적으로 군축(Disarmament)을 총칭적 의미로 군비통제(Arms control)를 그 하위의 개념(槪念)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반대로 군비통제를 총칭적 의미로 군축을 그 하위개념(槪念)으로 사용하는 경우 및 군축과 군비통제를 별개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군비통제의 이론적 정립문제... , 군비통제정책의 개념정립과 발전방향인문사회레포트 ,
다. 따라서 군비통제의 이론적 정립문제...
Download : 군비통제정책의 개념정립과 발전방향.hwp( 68 )
`군축`과 `군비통제` 용어는 지금까지 학자와 관련기관에 따라 서로 다른 개념(槪念)과 의미로 사용되어 온 실정이다. 따라서 군비통제의 theory 적 정립문제는 결국 양 용어를 둘러싼 논란과 혼동을 규명하는 것이 선결문제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