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report] [독후감] 유럽적 보편주의를 읽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18 20:51
본문
Download : [독후감,감상문] [독후감] 유럽적 보편주의를 읽고.hwp
이런저런 종교적, 윤리적인 명분들을 갖다 세우며 식민지화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고 더욱 식민지화에 박차를 가한다. 옛날 열강들의 패권주의가 난무하고 식민지열풍이 불던 때 강대국들은 식민지화에 대한 정당한 명분을 만들려 노력한다. 식민지가 된 국가 입장에서는 어떻게 해서도 절대 공감하기 힘든 명분일 테지만 약소국들의 입장은 강대국 앞에…(생략(省略))
![[독후감,감상문]%20[독후감]%20유럽적%20보편주의를%20읽고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5B%EB%8F%85%ED%9B%84%EA%B0%90%5D%20%EC%9C%A0%EB%9F%BD%EC%A0%81%20%EB%B3%B4%ED%8E%B8%EC%A3%BC%EC%9D%98%EB%A5%BC%20%EC%9D%BD%EA%B3%A0_hwp_01.gif)
![[독후감,감상문]%20[독후감]%20유럽적%20보편주의를%20읽고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5B%EB%8F%85%ED%9B%84%EA%B0%90%5D%20%EC%9C%A0%EB%9F%BD%EC%A0%81%20%EB%B3%B4%ED%8E%B8%EC%A3%BC%EC%9D%98%EB%A5%BC%20%EC%9D%BD%EA%B3%A0_hwp_02.gif)
![[독후감,감상문]%20[독후감]%20유럽적%20보편주의를%20읽고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5B%EB%8F%85%ED%9B%84%EA%B0%90%5D%20%EC%9C%A0%EB%9F%BD%EC%A0%81%20%EB%B3%B4%ED%8E%B8%EC%A3%BC%EC%9D%98%EB%A5%BC%20%EC%9D%BD%EA%B3%A0_hwp_03.gif)
![[독후감,감상문]%20[독후감]%20유럽적%20보편주의를%20읽고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5B%EB%8F%85%ED%9B%84%EA%B0%90%5D%20%EC%9C%A0%EB%9F%BD%EC%A0%81%20%EB%B3%B4%ED%8E%B8%EC%A3%BC%EC%9D%98%EB%A5%BC%20%EC%9D%BD%EA%B3%A0_hwp_04.gif)
설명
[독후감,report] [독후감] 유럽적 보편주의를 읽고
서평감상/독서서평
[독후감,report] [독후감] 유럽적 보편주의를 읽고
[독후감,감상문] [독후감] 유럽적 보편주의를 읽고 , [독후감,감상문] [독후감] 유럽적 보편주의를 읽고독서서평서평감상 , [독후감 감상문] [독후감] 유럽적 보편주의를 읽고
순서
[독후감,감상문],[독후감],유럽적,보편주의를,읽고,독서서평,서평감상
Download : [독후감,감상문] [독후감] 유럽적 보편주의를 읽고.hwp( 13 )
다. 유럽적 보편주의를 읽고쓰기
[누구의 개입할 권리인가]
길가다가 불량배들에게 돈이나 금품을 갈취당하는 친구나 동생을 목격하고 있다면 어떡해야 할까. 그냥 모른척 하고 지나쳐가야 할까, 용기를 내서 구해줘야 할까. 내가 구하려는 이유는 정의(定義)롭지 못한 행동을 보아서인가 내가 구해준 것에 대한 어떠한 보상을 바래서 인가. 괴롭히던 불량배들은 죽어 마땅한 걸까. 이 물음들에 대한 답은 유럽적 보편주의, 권력의 레토릭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과 같은 맥락인것 같다.
저자 이매뉴얼 윌러스틴은 인류의 꽤 오래된, 그러나 너무나 편파적으로 쉽게 결정되버린 딜레마를 다루고 있따 강대국이 약소국을 도와주는게 정말 사심없는 행동인가. 그리고 이러한 물음의 기원은 꽤나 거슬러 올라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