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중세국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16 03:45
본문
Download : 후기 중세국어.hwp
후기중세국어 , 후기 중세국어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후기 중세국어
레포트/인문사회
다. .
예) 15문헌의 ‘걷너 - 건너’ 의 공존은 이런 동화 존재 증명.
② 음절적(2차적 원리)
→ 각 음절이 충실히 표시
예) 그 당시의 언어 ‘24 ’ 의 곡용→ 25
‘먹’의 활용 → 머그니
현대 정서법은 ‘사람이’ ‘먹으니’라고 써 이원리를 무시.
* 15세기 정서법의 음절경계의 문제
첫째, 종성의 ‘ㅅ’은 다음 음절의 첫음이 ‘ㄱㄷㅂㅅ’일때 내려 쓸 수 있따
예) 닷가 → 26 , 어엿브 → 27
둘째, ‘ㅇ’은 ‘바올’과 같이 처성에 쓰이는게 일반적 이였으나 곧 바뀌었다.
예) 바올 → 방올
- 훈민정음의 모든 문자는 음가대로 사용되는 것이 원칙이나 유일한 예외 ‘ㅅ’
소위 사이시옷으로 사용된 것.
이것의 음운론적 …(drop)
후기중세국어
Download : 후기 중세국어.hwp( 17 )
,인문사회,레포트
후기 중세국어의 훈민정음 체계와 한자음 표기법에 대해 조사한 data(자료)입니다.






후기 중세국어의 훈민정음 체계와 한자음 표기법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15세기 정서법 원리>
① 음소적(1차적 원리)
각 음소를 충실히 표기하는 것 원칙. 모든 형태음소론 교체가 표기상에 반영 됨.
예) ‘값’ 의 곡용형 → ‘갑시, 갑도’
이처럼 15세기 정서법은 자음동화를 반영치 않았다. 그렇다고 동화가 그 당시에 없었던 것은 아닐것이다.
설명
3절. 15세기 정서법의 원리
- 정서법; 그 언어를 표기하는 규칙들을 가리킨다.
15세기에는 엄겨간 정서법이 수립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