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건축학] 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03 17:45
본문
Download : [건축학] 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hwp
사회경제적 특성(特性)은 …(투비컨티뉴드 )
[건축학] 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 , [건축학] 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공학기술레포트 , [건축학] 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
[건축학] 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
레포트/공학기술
[건축학],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공학기술,레포트
다.
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주거가 모든 경제적 생활과 사회적 생활의 집약적 공간이라는 인식에서 주거의 구조형식이나 건조기법등의 측면보다는 주공간 평면 중심으로 즉 칸(間)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1-2. 연구의 범위
본 연구는 19세기초반부터 20세기초까지 현존하는 조선후기 주거 중 중상류주거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현존하면서도 文化재로 지정된 주거는 그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원형이 그래도 잘 유지되었다는 가정을 전재로 연구를 스타트하였다.
Download : [건축학] 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hwp( 66 )
순서
설명
![[건축학]%20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D%95%99%5D%20%EC%A1%B0%EC%84%A0%ED%9B%84%EA%B8%B0%EC%A0%84%ED%86%B5%EC%A3%BC%EA%B1%B0%EA%B1%B4%EC%B6%95%EC%9D%98%EC%B9%B8%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_hwp_01.gif)
![[건축학]%20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D%95%99%5D%20%EC%A1%B0%EC%84%A0%ED%9B%84%EA%B8%B0%EC%A0%84%ED%86%B5%EC%A3%BC%EA%B1%B0%EA%B1%B4%EC%B6%95%EC%9D%98%EC%B9%B8%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_hwp_02.gif)
![[건축학]%20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D%95%99%5D%20%EC%A1%B0%EC%84%A0%ED%9B%84%EA%B8%B0%EC%A0%84%ED%86%B5%EC%A3%BC%EA%B1%B0%EA%B1%B4%EC%B6%95%EC%9D%98%EC%B9%B8%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_hwp_03.gif)
![[건축학]%20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D%95%99%5D%20%EC%A1%B0%EC%84%A0%ED%9B%84%EA%B8%B0%EC%A0%84%ED%86%B5%EC%A3%BC%EA%B1%B0%EA%B1%B4%EC%B6%95%EC%9D%98%EC%B9%B8%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_hwp_04.gif)
![[건축학]%20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D%95%99%5D%20%EC%A1%B0%EC%84%A0%ED%9B%84%EA%B8%B0%EC%A0%84%ED%86%B5%EC%A3%BC%EA%B1%B0%EA%B1%B4%EC%B6%95%EC%9D%98%EC%B9%B8%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_hwp_05.gif)
![[건축학]%20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D%95%99%5D%20%EC%A1%B0%EC%84%A0%ED%9B%84%EA%B8%B0%EC%A0%84%ED%86%B5%EC%A3%BC%EA%B1%B0%EA%B1%B4%EC%B6%95%EC%9D%98%EC%B9%B8%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_hwp_06.gif)
[건축학] 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
조선후기 전통주거건축의 간에 관한 연구
-전남지방 중상류주택의 안채를 중심으로-
Ⅰ. 서 론
1-1. 연구의 목적본 연구는 조선후기이후 현존하는 19세기초반부터 20세기초까지 조선후기 중상류주거1)(文化재로 지정된) 47가옥중 10가옥으로 주거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일제강점기부터 스타트된 한국주거사는 1970년대이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아 현존하는 조선시대 주거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존하는 중상류주거의 특성(特性)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