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 /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28 02:48
본문
Download :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hwp
a. 정은이가 인형을 소현이를 주었다. 이와 같이 예문 (1)에서 ‘-가’와 ‘-를’에 선행하는 명사구들은 문장의 핵성분인 동사에 의해 선택되는 것인가 아니면 핵명사에 의해 선택되는 것인가가 논의의 초점이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안에서 명사구들의 ‘명시소 이동’에 대하여 기술하고, 그 통사·의미적 특성(特性)을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그러나 (1나a)의 ‘소현이’와 ‘얼굴’은 [전체-부분]의 의미적 교착관계를 형성하는데 반해, (1나b)의 ‘소현이’와 ‘책’은 [전체-부분]의 의미관계라기보다는 분리 가능한 별개의 개체로 인식된다된다.
b. 정은이가 학교를 간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이러한 명사구들 가운데 동사의 항가에 따라 선택되는 필수적 명사구들 가운데 격중출을 보이는 구문들을 대상으로 핵 계층적 연구방법에 따라 이들 명사구의 통사구조를 ‘이중구조’로 제시한다. 마찬가지로 국어 명사구에서도 핵명사의 항가와 선행요소들과의 통사·의미적 관계에 따라 핵명사를 중심으로 선행요소들이 선택된다고 볼 수 있다.
나. a. 정은이가 소현이를 얼굴을 때렸다.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 1) 1. 서 론 국어 문장구조...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 1) 1. 서 론 국어 문장구조...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 1)
(1) 가. 정은이가 손이 예쁘다.1)
b. 정은이가 소현이를 책을 찢었다.
Download :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hwp( 38 )
1. 서 론
2.1 문장과 명사구의 구조
국어 문장구조의 핵성분은 동사이고, 이 동사의 항가에 따라 선행 명사구들이 선택되어 핵성분인 동사와 통합된다된다.
무한한 수의 문법적인 문장을 생성시켜 주는 유한한 체계를 ‘문법’이라 할 때4) 명사구도 핵 명사을 중심으...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 /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 /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2. 국어 명사구의 구조
위 예문 (1가)의 ‘정은(이)2)’와 ‘손’은 [전체-부분]의 의미적 교착관계를 보일 뿐만 아니라 동사3) ‘예쁘-’와 통사적 계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설명
다. 그리고 (1다a)의 ‘소현이를’은 동사 ‘주-’의 항가에 의해 선택된 ‘소현이에게’의 변형으로 보이며, (1다b)의 ‘학교를’은 ‘학교에’의 변형으로 보인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