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감상문(report)] 콜래트럴-톰 쿠르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21 02:48
본문
Download : [영화감상문]콜래트럴-톰 쿠르즈.doc
그런 암시적인 표현이 더 고급스럽고 영화의 깊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 받기 때문일것이다 그래서 많은 영화제의 시상 영화를 보면 액면 그대로는 따분하고 심심한 영화지만 암시적인 의미가 강한 영화들이 많다. 새로운 시각으로 이 영화를 본다면 지금의 미국이 행하는 모습이 아닐까 싶다. 도심의 고독한 모습, 개인주의의 만연으로 나 이외의 사람에게는 감정도 전하지 않는 도시의 삭막함만을 표현하지 않는다. 쉽게 말해 선과 악의 논리로 영화를 본다면 영화의 내용이 극명하게 드러나 보인다.
2. 흑인과 백인의 구분 설정
폭력이 난무하는 이 영화가 나에게는 다른 시각으로 평가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영화는 미국이 행하는 지금의 모습을 한 살인청부 업자를 동원하여 빗대어 나타내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진정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살인에 대한 댓가가 쓸쓸한 죽인만이 아닐 것이라는 것을 나는 느꼈다. 바보가 아닌 다음에야 분명히 판단할 수 있다아 하지만 영화를 지금의 미국 현실과 국제 관계의 시각으로 관람한다면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아 영화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과 영화 내에서 영화가 말하고자 내용을 파악하는 것과의 차이는 영화를 보는 시각 차이에 있다아 그 차이는 다소 사람마다 그리고 처한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아 즉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은 보는 이에 따라 다르게 판단될 수 있다는 것이다.
1. 서론 - 선과 악의 논리
[영화 감상문(report)] 콜래트럴-톰 쿠르즈
다. 그러나 감독은 이면에 나타나는 눈에 보이는 것을 말하는 것보다는 보이지 않는 내면의 것을 나타내고자 한다.
4. 결론 - 고독한 죽음
5. 감독소개
양심, 도시, 영화, 톰 쿠르즈, 살인
![[영화감상문]콜래트럴-톰 쿠르즈-9160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2/%5B%EC%98%81%ED%99%94%EA%B0%90%EC%83%81%EB%AC%B8%5D%EC%BD%9C%EB%9E%98%ED%8A%B8%EB%9F%B4-%ED%86%B0%20%EC%BF%A0%EB%A5%B4%EC%A6%88-9160_01.gif)
![[영화감상문]콜래트럴-톰 쿠르즈-9160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2/%5B%EC%98%81%ED%99%94%EA%B0%90%EC%83%81%EB%AC%B8%5D%EC%BD%9C%EB%9E%98%ED%8A%B8%EB%9F%B4-%ED%86%B0%20%EC%BF%A0%EB%A5%B4%EC%A6%88-9160_02_.gif)
![[영화감상문]콜래트럴-톰 쿠르즈-9160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2/%5B%EC%98%81%ED%99%94%EA%B0%90%EC%83%81%EB%AC%B8%5D%EC%BD%9C%EB%9E%98%ED%8A%B8%EB%9F%B4-%ED%86%B0%20%EC%BF%A0%EB%A5%B4%EC%A6%88-9160_03_.gif)
![[영화감상문]콜래트럴-톰 쿠르즈-9160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2/%5B%EC%98%81%ED%99%94%EA%B0%90%EC%83%81%EB%AC%B8%5D%EC%BD%9C%EB%9E%98%ED%8A%B8%EB%9F%B4-%ED%86%B0%20%EC%BF%A0%EB%A5%B4%EC%A6%88-9160_04_.gif)

설명
3. 살인명단자의 암시
영화report-콜래트럴-톰 쿠르즈
Download : [영화감상문]콜래트럴-톰 쿠르즈.doc( 87 )
폭력이 난무하는 이 영화가 나에게는 다른 시각으로 평가되었다. 진정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살인에 대한 댓가가 쓸쓸한 죽인만이 아닐 것이라는 것을 나는 느꼈다. 도심의 고독한 모습, 개인주의의 만연으로 나 이외의 사람에게는 감정도 전하지 않는 도시의 삭막함만을 표현하지 않는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순서
두 사람의 양심이 영화의 끝까지 대립되는 양상으로 이어지고 결국은 선과 악의 기준으로 해서 선이 승리하는 것으로 결론이 난다. 새로운 시각으로 이 영화를 본다면 지금의 미국이 행하는 모습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