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보고서] 안동하회마을 답사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7 04:26
본문
Download : 안동하회마을 답사보고서.hwp
- 천장 : 사랑채는 볼 수 없었지만 안채대청에서 천장을 볼 수 있었다. 두리기둥의 두께는 약 21cm이었고 높이를 조사한 결과 약 3m가 된다고 한다. 지붕을 받치는 대들은 모두 자연스러운 나무들을 사용하여 더 아름다워 보인다. 사랑채와 연결되는 부분도 합각을 이룬다. 대공에는 종이 같은 것이 붙어있는데 우리조원들은 혹시 저것이 상량문이 아닌가 생각해 보기도 했다. 정교하게 짜여져 있는 것을 보며 조원들 모두 신기했다.
㈄ 문-창 : 안방의 문은 띠살문이고 안쪽에는 격자문의 미닫이문이 있다. 두리기둥이 기단까지 내려와 있어 더 운치와 웅장함을 주는 것 같았다.
다. 자료를 찾아보니 총 66개의 주춧돌이 있는데 이 중 2개는 화강석을 다듬어서 사용한 것도 있다고 한다. 그리고 대부분이 둥근나무(굴도리 포함)이어서 부드러워 보인다. 그리고 정교하게 다듬어진 소로와 장여 등을 볼 수 있다. 사랑채 것보다는 더 자연석 같았다.
㈂ 기둥 : 안방이 있는 벽에는 각기둥(직각기둥) 이 쓰였으며 툇마루 기둥은 두리기둥이 쓰였다. 서까래만 있는 홑처마로 서까래가 역시 부채꼴을 하고 있다. 이를 받쳐주기 위한 예쁘게 조각 된 보아지도 발견할 수 있다. 일단 눈에 띄게 큰 대들보가 보인다. 이 중 하나의 길이를 재보았더니 가로는 80.6cm , 높이 16.1cm였다.
[답사보고서] 안동하회마을 답사보고서
안동 하회마을의 민가 답사 및 분석자료입니다. 돌을 다듬어서 사용할 정도로 부유했다는 증거이다.
설명





안동, 하회마을, 답사, 보고서, 한옥, 전통가옥
순서
안동 하회마을의 민가 답사 및 分析(분석)reference(자료)입니다.
Download : 안동하회마을 답사보고서.hwp( 87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지붕 : 5량의 맞배지붕으로 행랑채지붕 위에서 합각을 이룬다. 굉장히 두껍고 튼튼하게 보인다. 천장 꼭대기에 있는 굴도리로 되어있는 종도리도 볼 수 있었고 대공도 볼 수 있다.
- 주춧돌 : 자연석을 사용하였으며 역시 덤벙주초방식을 사용하였다. 가운데 쪽의 서까래가 더 많이 튀어 나와있다. 비와 바람에 강하게 하기 위해 방풍벽을 했다. 용어를 확실하게 알지 못하지만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리고 원래 방이 2개였던 곳을 하나로 합쳤는데 그 합친 방과 대청 옆의 안방 사이에 여닫이문이 있다. 행랑채와 중문채의 지붕이 안채 지붕 보다 낮음으로써 위계 질서을 보여주고 층계처럼 되어 있어 지붕의 미를 더욱 더 살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