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오드 리미터 결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3 13:53
본문
Download : 다이오드 리미터 결과.hwp
1) 앞장에 있는 구성도와 같이 리미터 회로를 결선하고 오실로스코프를 다음과 같이 조정한다. 제거하는 수준은 다이오드의 장벽전위와 같을 수 있고 직류전원장치를 이용하여 다르게 할 수도 있다.
2) 이 상태에서 1㏀ 가변저항기를 점점 變化(변화)시켜 클리핑되는 정도를 觀察(관찰) 하여 기록한다. 그 후 브레드보드에 전원을 연결하고 가변저항기를 조절하여 VDC가 +1.5V가 되도록 한다.
1) 그림 2와 같이 회로에서 신호발생기를 떼어내고 다이오드의 극성을 반대로 연결한다. 그 후 1㏀ 가변저항기를 조절하여 VDC 가 -1.5V가 되도록 한다. 신호발생기를 브레드보드에 연결하고 첨두간 전압이 6V가 되도록 조절한 후 리미터의 출력 파형을 觀察(관찰) 하여 기록한다. 다음으로 신호원을 브레드보드에 연결하고 첨두간 전압이 6V가 되도록 조절한 후 리미터의 출력 파형을 觀察(관찰) 하여 기록한다.
다이오드 리미터 결과,클리퍼,다이오드
설명
1) 결선된 회로에 있는 다이오드와 직류전원장치의 극성을 그림 4와 같이 반대로 연결한다. 파형을 자르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리미터는 클리퍼(clipper)라고 부르기도 한다.
채널 1과 2 : 1v/division, 직류결합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2) 극성을 반대로 연결하고 앞의 순서에서 觀察(관찰) 한 파형과 지금 觀察(관찰) 한 파형을 비교한 후 이 實驗 마지막 부분의 데이터기록을 위한 클리핑 된 파형을 (+)와 (-) 최대값을 표시하여 넣는다.
實驗2. (그림 2참조)
實驗1. (그림 1참조)
實驗3. (그림 3참조)
Download : 다이오드 리미터 결과.hwp( 35 )
다이오드 리미터 결과
다.
2) 이 상태에서 1㏀ 가변저항기를 점점 變化(변화)시켜 클리핑되는 정도를 觀察(관찰) 하여 기록한다.
이번 실험의 목적은 신호전압에서 어떤 수준 이상 또는 이하가 되는 값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일종의 파형을 다듬는 회로인 다이오드 리미터의 동작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3) 0점으로 일치시켜 놓은 후에 신호원을 브레드보드에 연결하고 신호원의 손잡이를 조절하여 200㎐의 주파수에서 첨두간 전압이 6V가 되도록 하고 實驗 마지막 부분의 데이터 기록을 위한 페이지에 클리핑된 파형을 (+)와 (-) 최대값을 기록한다.
實驗4. (그림 4참조)
시간배율 : 1ms/division
이번 실험의 목적은 신호전압에서 어떤 수준 이상 또는 이하가 되는 값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일종의 파형을 다듬는 회로인 다이오드 리미터의 동작을 살펴보는 것에 있따 제거하는 수준은 다이오드의 장벽전위와 같을 수 있고 직류전원장치를 이용하여 다르게 할 수도 있따 파형을 자르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리미터는 클리퍼(clipper)라고 부르기도 한다.
순서





브레드보드에 어떤 신호원도 연결하지 않은 채 오실로스코프의 표시창에 나타나는 두 개의 선을 수직눈금의 중간, 즉 0점의 위치에 일치시켜 놓는다.
1) 앞의 그림 3과 같이 회로를 결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