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대정신수대장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21:38
본문
Download : 대정신수대장경.hwp
제85권인 돈황본은 고일부(古逸部)와 의사부(疑似部)로 나뉜다.
제3부는 도상(圖像)(12권) -미술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수록한 것이며 총363부
1. 大正新修大藏經의 개략
大正新修大藏經을 편찬하게 된 배경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중요] 대정신수대장경
다.
2. 大正新修大藏經을 편찬하게 된 배경
대장경은 4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정신수대장경,다이쇼신수대장경,고려대장경,경전의 분류,오분법, 10류,아함부,만자속장경,목판대장경
3. 大正新修大藏經 체계
4. 왜 大正新修大藏經 인가?
Download : 대정신수대장경.hwp( 18 )
大正新修大藏經을 편찬하게 된 배경
제 1부의 정장 (55권)- 인도어를 번역한 32권과 중국(China)에서 찬술된 23권으로 모두 55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부의 정장 2184부는 종래의 어느 대장경 보다도 많은 경전류를 담고 있으며 대개 지금까지 전해져 온 대장경의 내용에 상당한다





순서
2부의 속장 (30권)- 일본 찬술부가 29권(56-84), 둔황사본이 1권(85)으로 모두 3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처음의 32권은 1,692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개원석교록`의 1,076부보다 5할이상 늘어났고, 이 부분만으로도 `개원석교록`의 일체경보다도 훨씬 방대한 대장경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