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과文化(culture) ]창의성의성격및창의성과文化(culture) 차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11:13
본문
Download : -[창의성과문화]창의성의성격및창의성과문화차이.hwp
이와 같이 창의력은 새로운 조합이나 연상을 만들어 내는 능력, 즉 `확산적
사고력`(divergent thinking)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확산적 사고력은 수평
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것을 창의력의 전부라고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길포드의 말처럼 창의적 행동에는 최소한 어느 정도의
지능이 요구되기 때문일것이다
오늘날의 모든 조직에서는 구성원들의 창의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현대와 같이 주변의 環境이 극도로 복잡해지고 다변화되어가
는 상황하에서 조직이 존속하고 지속적인 성장의 기회를 얻기 위해서는 구성원
들이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나 조직에서
창의성이 그 가치를 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각자의 자질에만 의
존해서는 안 되고 경영자들의 관심 속에서 관리되어 보다 많은 창의적 사고와
행동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창의적 능력은 `새로우면서도 실용적인 여러 가지의 아이디어를 산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첫째, 창의성은 조직구성원들의 활발하고 적극적인 사고를 촉진시키며 문제
해결능력을 증대시킨다. 따라
서 경영자는 때때로 창의성으로 말미암아 나타날…(skip)
-[창의성과文化(culture) ]창의성의성격및창의성과文化(culture) 차이
-[창의성과文化(culture) ]창의성의성격및창의성과文化(culture) 차이
![-[창의성과문화]창의성의성격및창의성과문화차이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B0%BD%EC%9D%98%EC%84%B1%EA%B3%BC%EB%AC%B8%ED%99%94%5D%EC%B0%BD%EC%9D%98%EC%84%B1%EC%9D%98%EC%84%B1%EA%B2%A9%EB%B0%8F%EC%B0%BD%EC%9D%98%EC%84%B1%EA%B3%BC%EB%AC%B8%ED%99%94%EC%B0%A8%EC%9D%B4_hwp_01.gif)
![-[창의성과문화]창의성의성격및창의성과문화차이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B0%BD%EC%9D%98%EC%84%B1%EA%B3%BC%EB%AC%B8%ED%99%94%5D%EC%B0%BD%EC%9D%98%EC%84%B1%EC%9D%98%EC%84%B1%EA%B2%A9%EB%B0%8F%EC%B0%BD%EC%9D%98%EC%84%B1%EA%B3%BC%EB%AC%B8%ED%99%94%EC%B0%A8%EC%9D%B4_hwp_02.gif)
![-[창의성과문화]창의성의성격및창의성과문화차이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B0%BD%EC%9D%98%EC%84%B1%EA%B3%BC%EB%AC%B8%ED%99%94%5D%EC%B0%BD%EC%9D%98%EC%84%B1%EC%9D%98%EC%84%B1%EA%B2%A9%EB%B0%8F%EC%B0%BD%EC%9D%98%EC%84%B1%EA%B3%BC%EB%AC%B8%ED%99%94%EC%B0%A8%EC%9D%B4_hwp_03.gif)
![-[창의성과문화]창의성의성격및창의성과문화차이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B0%BD%EC%9D%98%EC%84%B1%EA%B3%BC%EB%AC%B8%ED%99%94%5D%EC%B0%BD%EC%9D%98%EC%84%B1%EC%9D%98%EC%84%B1%EA%B2%A9%EB%B0%8F%EC%B0%BD%EC%9D%98%EC%84%B1%EA%B3%BC%EB%AC%B8%ED%99%94%EC%B0%A8%EC%9D%B4_hwp_04.gif)
,인문사회,레포트
다.설명
Download : -[창의성과문화]창의성의성격및창의성과문화차이.hwp( 71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창의성과문화]창의성의성격및창의성과문화차이-[창의성과문화]창의성의성격및창의성과문화차이 , -[창의성과문화]창의성의성격및창의성과문화차이인문사회레포트 ,
-[창의성과文化(culture) ]창의성의성격및창의성과文化(culture) 차이
-[창의성과 문화] 창의성의 성격 및 창의성과 문화차이
창의성과 문화
(1) 창의성의 성격
창의성(creativity)은 개인의 행동 및 능력의 하나로서 선천적으로 주어지는
것이라기보다는 학습과 노력에 의해 연마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창의성의
definition 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창의적 행동`(creative behavior)과 `창의적 능력`(creative ability)을 구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창의적 행동은 `새로우면서도 실용적인 여러 가지의 아이디어를 산출해 내
는 것`을 말한다. 진정한 의미의 창의력은 전통적 사고방식과 과거의 경험 그리고 진부한
관념의 속박에서 벗어나 서로 관련이 없는 요소들을 특definition 필요성(必要性)에 부합되도
록 새롭게 조합하고 연상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창의성이 중요시되는 실
제적인 이유를 몇 가지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많은 연구
에 따르면 이 두 definition 간에는 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창의성에 대한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길포드(TP. Guilford)에 의하면 `창
의적 자질`(creative talent)은 지능과는 다른 여러 가지의 능력으로 이루어져
있다(Guilford, 1971). 그 외에 이에 관한 많은 연구에서도 이 둘 사이의 관계
가 기껏해야 0.1 정도의 상관관계밖에는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신유근, 1982:
273). 그러나 창의성과 지능이 전혀 관련이 없는 별개의 definition 이라고 단정하기
도 곤란하다. 그리
고 실용적이라는 것은 새로운 아이디어, 즉 산출물이 다른 사람들에게 실제적
인 가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산출이란 새롭고 실용적인 아이디어를 다른 사람들이
지각하고 이해할 수 있는 어떤 형태나 양식(예컨대 노래와 같은 언어적 방식,
무용이나 그림과 같은 비언어적 방식 등)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창의성은 새
로움과 변화 그리고 바람직함을 추구하기 때문에 그 과정은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한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창의성이 이와 같이 조직에 대하여 순기능적으로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조직구성원들이 창의성에만 너무 몰두하게
되면 또 다른 목적을 위해 활용해야 하는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결과를 가져
올 수도 있다 또한 작업이 일상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능률이 강조되
는 조직에서는 이것이 오히려 성과에 대한 예측을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둘째, 창의성은 조직구성원들의 사기와 작업의욕을 고취시키며 진취적이고
개방적인 조직문화가 형성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셋째, 창의성은 생산성의 제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이것은 개인이 새로운 방식으로 연상하고 조합하
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창의성에 관한 연구문헌들을 살펴보면 창의적 능력,
즉 창의력에 대하여 특별히 두 가지 특징을 강조하고 있다 하나는 창의력은
단순하거나 고정되어 있는 일차원적인 능력이 아니라 여러 차원의 능력이 조합
된 복합체라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사람들이 전에는 만들어 내지 못했던 연상
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라는 점이다.
창의성은 이상과 같은 창의적인 행동과 능력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
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일은 창의성, 특히 창의력을
지능(intelligence)과 같은 definition 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