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칠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19:52
본문
Download : 사단칠정.hwp
사단칠정1 , 사단칠정인문사회레포트 ,
사단칠정1
레포트/인문사회
I. 서론
II. 본론
1. 논쟁의 과정
2. 논쟁에 대한 結論(결론)
마지막으로 그는 주희도 사단과 칠정을 각각 이가 발하고 기가 발한 것으로 말했다는 점을 들어 자신의 입설에 무리가 없다고 자신하면서 논쟁에 종지부를 찍으려 했다. 다음으로 기대승은 이황이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을 들어 사단과 칠정을 이발과 기발로 나누어 보는 것이 정당하다는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아 즉 주희를 비롯한 先儒들이 성을 기질과 본연으로 나눈 것은 성이 있는 곳을 따라 말하는 것이므로, 실제로는 이와 기를 별개의 사물로 나누어 …(생략(省略))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다. 이황의 편지를 받은 기대승은 당초 자신이 제기했던 drawback(걸점)이 해결되기는커녕 도리어 강한 반박을 받게 되었다. 기대승은 먼저 사단과 칠정이 서로 대응하는 관념이 아니라 칠정 중에서도 中節한 것이 사단이라고 주장하였다.
Download : 사단칠정.hwp( 32 )
사단칠정론의 개념과 논쟁의 과정 결론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사단칠정
설명
사단칠정론의 개념과 논쟁의 과정 conclusion 에 대해 조사한 자료(data)입니다. 그의 입장에 따르면 칠정이라는 인간의 심리 현상은 선한 경향을 지니는 四端과 그렇지 않은 非四端으로 구분된다 그의 심성론은 사단과 비사단이 그보다 상위 범주인 칠정 속에 포함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