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조선시대 문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9 13:34
본문
Download : [인문] 조선시대 문학.hwp
[인문] 조선시대 문학 , [인문] 조선시대 문학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조선시대 문학
Download : [인문] 조선시대 문학.hwp( 17 )
인문,조선시대,문학,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인문] 조선시대 문학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설명
![[인문]%20조선시대%20문학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C%A1%B0%EC%84%A0%EC%8B%9C%EB%8C%80%20%EB%AC%B8%ED%95%99_hwp_01.gif)
![[인문]%20조선시대%20문학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C%A1%B0%EC%84%A0%EC%8B%9C%EB%8C%80%20%EB%AC%B8%ED%95%99_hwp_02.gif)
순서
조선시대 문학
(1) 전기의 문학
1) 한문학 - 조선 초기 문학의 주류
① 15세기 - 사장을 중시하는 문신 관료들에 의해 발달
※동문선 편찬 - 서거정이 우리의 문학적 유산 정리(整理) - 자주적 정신 표현② 16세기 문학 - 사림들의 사장 배격 - 경학 중시, 문학 활동 저조, 불우한 일부 지식층, 중인층, 부녀자 중 뛰어난 작품 → 문학 형식과 작품의 주제는 다양
2) 설화 문학 : 고려 후기의 설화 문학 계승 발전
① 15 세기 - 김시습의 금오신화 (민간 설화를 소설 형식으로)
② 16 세기 - 어숙권의 패관잡기 (문벌. 적서 差別(차별) 의 페단 지적), 임제의 풍자, 우의적인 산문과 시(당시 사회의 모순과 유학자들의 사대 사상 비판)
3) 시조 문학
① 15 세기
㉠ 고급 관료들의 시조 - 왕조 건설 찬양, 농경의 즐거움, 진취적 기상과 호방함(김종서, 남이…(drop)② 16세기의 시조
4) 악장 문학 -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등 - 훈민정음 창제로 발전하여 16세기 가사 문학으로 계승
5) 가사 문학 - 송순, 정철, 박인로 등
6) 여류 문인 - 신사임당(시, 서, 화), 허난설헌(한시), 황진이(시조)
① 농민들의 경제력 향상과 서당 교육의 확대로 서민 의식이 성장 → 서민들의 문학과 예술 대두
② 역관·서리 등의 중인층의 문예 활동 활발
③ 상민 광대들에 의해서 판소리 보급
① 주체 - 양반 중심에서 중인·상민·광대들에 의한 창작
② 내용 -인간 감정 묘사나 사회 비리에 대한 강한 고발 정신
③ 작품의 주인공과 배경 - 서민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고 비현실적 작품 배경에서 현실적 인간 세계 묘사
① 홍길동전 - 허균, 최초의 한글 소설, 서얼 차대의 철폐와 탐관 오리 응징 → 사회 비판과 이상향 추구
② 춘향전 - 평등의 요구, 未來에 대한 희망 추구
③ 기타 - 김만중의 사씨남정기, 구운몽, 장화홍련전, 콩쥐팥쥐전, 임경업전 등
7) 시사(詩社)의 조직
① 중인, 상민들이 조직한 시인 동우회
② 옥계 시사(천수경), 직하 시사(최경흠 등), 서원 시사(박윤묵 등) 등이 유명,
③ 동인지 - 소대풍요, 풍요속선 등
[인문] 조선시대 문학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