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적 복지 : 복지개혁의 제 3의 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02 07:18
본문
Download : 생산적 복지 복지개혁의 제 3의 길.hwp
대처리즘은 시장의 활성화를 통해 경제를 살렸지만 불평등이 심화되는 부작용을 초래했기 때문에 효율성과 형평성을 조화시키기 위해서는 제 3의 길이 요청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국과 영국 그리고 한국의 복지개혁의 사례(instance)와 성과들을 살펴보고 그 의의와 한계를 집어보기로 한다.
레포트/인문사회
다. , 생산적 복지 : 복지개혁의 제 3의 길인문사회레포트 ,
생산적 복지 : 복지개혁의 제 3의 길
이렇듯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사회복지정책은 효율성과 형평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제 3의 길, 즉 ‘생산적 복지’정책을 마련해야 하는 시대적 요청을 받고 있는 것이다.설명
복지개혁의 필요성 및 변화의 방향과 미국, 영국의 복지개혁과 한국의 복지개혁을 살펴보고, 생산적 복지의 의의와 한계 및 복지개혁 방안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2. 미국의 복지개혁
1996년 복지개혁법이 통과되기 전까지 미국의 복지는 뉴딜개혁 이후로 오랫동안 유지되어왔던 잔여적 복지국가의 형태를 유지해왔다. 영국의 경우 1976년 IMF 구제금융을 대가로 2년간 경제적 신탁통치를 받았을 당시 제 3의 길을 채택하여 복지세계의 중심에 다시금 들게 되었다. 즉 기여금 방식의 사회保險(보험) 적 성격인 ‘사회보장’과 소수의 빈민들에게 지급되는 공적부조인 ‘복지…(drop)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생산적 복지 복지개혁의 제 3의 길.hwp( 87 )
순서
복지개혁의 necessity 및 變化의 방향과 미국, 영국의 복지개혁과 한국의 복지개혁을 살펴보고, 생산적 복지의 의의와 한계 및 복지개혁 measure(방안) 에 대하여 요점했습니다. 우리나라도 1997년 IMF 구제금융 이후 김대중 government 집권 전반기를 대처리즘을 원용한 위기극복의 시기로 규명할 수 있다면 집권 후반기에는 ‘생산적 복지’로 상징되는 제 3의 길을 모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