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표기법 변천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16 17:00
본문
Download : 한글 표기법 변천사.hwp
한글표기법변천사
1) 체계상의 차이
17세기 문자체계는 25자 체계
① 방점 소실 : 16세기 후반의 일부 문헌에 방점을 찍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었는데 17세기 부터는 일반화
② `ㆁ` 소실 : 16세기에는 종성에만 국한 사용. 임진란 뒤부터는 완전히 `ㅇ`에 합류
③ `ㅿ` 소실 : 표기상으로는 16세기 말까지 유지. 17세기에 아예 쓰이지 않게 된다된다. 또한 겹닿소리 음운은 각자병서에 합류하거나 [ㅅ]계로 통일되어 된…(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한글 표기법 변천사.hwp( 33 )
설명
순서
중세, 근대, 현대 국어의 표기법과 소실문자 `ㅸ`, `ㅿ`, `ㆁ`, `·`,`ㆀ`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②홀소리 체계와 닿소리 체계의 change(변화)로 /·/가 비 음운화 하면서 /·/의 음역은 주변의 음운들로 확산된다된다.한글표기법변천사 , 한글 표기법 변천사인문사회레포트 ,
한글 표기법 변천사
레포트/인문사회






다. 이 change(변화)가 통일된 방향을 지니지 못했기 때문에 이 시기의 표기법에는 이 과정이 걸러지지 않고 모두 나타난다. : 이 두 변동 규칙은 인식하여 표기에까지 반영하려는 의도적인 노력을 하게 된다된다.
2) 정서법의 혼란상
혼란의 요인을 세 가지로 살펴보면 ① 음운 변동이 표기법에 effect을 미쳐 혼란을 일으키는 경우, ②음운 체계의 change(변화)가 표기법의 change(변화)를 가져오는 경우, ③문법 의식의 change(변화)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따
①/ㄴ/머리소리 규칙이 18세기 중기 이후에 보편ㆍ필연적인 규칙으로 자리 잡고, 입천장소리 되기 규칙이 생산적인 규칙으로 굳어진다.
,인문사회,레포트
중세, 근대, 현대 국어의 표기법과 소실문자 `ㅸ`, `ㅿ`, `ㆁ`, `·`,`ㆀ`에 대하여 요약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