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17 04:18
본문
Download : 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hwp
다시 말해서, <정과정>이라는 유식자층의 충신연주지사가 지니던 ‘아소 님하’의 전통이 <이상곡>과 같은 非충신연주지사들의 악자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덧붙여졌을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고려속요여음양상10 , 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인문사회레포트 ,
고려속요여음양상10
,인문사회,레포트
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에 대해 조사한 자료(資料)입니다. 이는 <정과정>이 본사의 내용을 압축한 형태로서 주제행이라 할만한 ‘아소 님하’ 부분을 가졌던 것과는 대조된다 <이상곡>에서 보여주는 ‘아소 님하’와 같은 이러한 압축 부분은 민요가 궁중속악으로 편입하면서 덧붙은 좋은 예가 되겠다.
<만전춘별사>의 마지막 부분이 이를 어느 정도 뒷받침해 줄 수 있을 듯하다. 잘 알려진 대로, <만전춘별사>는 내용면에서 하나의 완성된 내용으로 일관성 있게 짜여진 노래가 아니라 어떤 악곡에 맞추기 위하여 궁중에서 俗歌의 여러 내용을 재구성한 노래이다. 오히려 원사의 내용에 없던 것을 무리하게 ‘아소 님하’ 이하를 받고 있는 느낌이다. <이상곡>을 살펴보면, ‘아소 님하’ 부분은 바로 위에 제기된 물음에 대한 대답의 형식을 하고 있는데, 의미상 본사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내용과 직접 관련되는 것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김준영(1971), 『한국고전문학사』(금강출판사), 205면; 최정여(1965), “고려의 속악가사 …(투비컨티뉴드 )
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순서
설명






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hwp( 75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