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공학정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10 09:13
본문
Download : 미생물공학정리.hwp
설명
② 기작: 빨리 이용되는 질소원은 c-AMP의 생성을 방해 → CAP이 DNA에 붙지 않음 → 2차
대사 산물의 생산에 관련된 효소가 생성 안됨③ 해결방법:
1. 느리게 이용되는 질소원 사용
2. 느리게 이용되는 질소원의 analogue 사용
3. 유가식 배양을 사용하여 질소원의 공급속도를 느리게함
4. catabolite regulation에 저항하는 균주 사용
3) Phosphate catabolite regulation① 정의(定義): phosphate를 첨가하였을 때 2차 대사 산물의 catabolic pathway에 관련된 효소가
repression, inhibition② 기작:
1. phosphate는 1차 대사를 촉진: phosphate를 첨가하였을 때 phosphatase (2차 대사산물의 생합성에 관련된 효소) repression or inhibition
2. phosphate의 고갈은 1차 대사(trophophase)에서 2차 대사(idiophase)로 전환을 일으
킴: idiophase에서 phosphate를 첨가하면 2차 대사산물의 생성이 중지됨.
3. 과량의 phosphate는 탄수화물 대사를 pentose phosphate pathway(12 NADPH2 생성)를
glycolytic pathway(2 NADPH2 생성…(省略)
③ 해결방법: phosphate 농도를 제한해야함.
1) 영양요구성 변이주
① 2차 대사산물은 1차 대사산물로부터 뻗어나간 분기된 대사경로의 최종산물
② 2차 대사산물 생성과정 중 1차 대사산물이 branched pathway로 파생될 때: 1차 대사산
③ 2차 대사산물의 생합성과 연관 없는 1차 대사산물의 영양요구성 변이주에 의한 2차 대
2) Analogue 또는 대사물질 내성균
① 2차 대사산물의 1차 대사 전구물질의 analogue 내성균: feedback regulation의 해제에
② 2차 대사산물의 feedback 저해가 해제된 변이주:
미생물공학정리입니다.
미생물공학정리
미생물공학정리입니다.미생물공학정리 , 미생물공학정리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미생물공학정리.hwp( 14 )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미생물공학정리
레포트/공학기술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