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사회culture 교류협력 심화를 위한 실천課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14 21:26
본문
Download : 남북 사회문화 교류협력 심화를 위한 실천과제.hwp
서울(91.11)과 평양(93.11)에서 개최된 「아세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세미나, 「평양동북아 경제포럼」(92.9), 「日本(일본)의 전후 처리문제에 관한 국제토론회(93.11), 성균관대(98.4~5), 경남대(98), 강원대(98) 총장 등의 방북 등이 왕래교류의 대표적인 학술교류로 꼽을 수 있다 남북한 학술교류는 대부분 china(중국) 등 제3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시기별로는 하계방학중인 7, 8월에 집중되어 있다
학술교류는 점차 정례화되고 있는데, 정례화된 학술회의로는 매년 china(중국) 북경에서 열리는 「남북해외학자 통일회의」(99년 5차), 북한·동북아·미국 등에서 매년 개최되는 「동북아 경제포럼」(97년 7차), 2년마다 미국 버클리에서 개최되고 있는 「코리아 평화통일 심포지엄」(98년 6차) 등을 비롯하여 「고구려 국제학술대회」(97년 3회…(To be continued )
설명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다.남북 사회culture 교류협력 심화를 위한 실천課題
학술교류는 1989년 런던의 「유럽한국학대회」에서 남북한학자가 처음으로 공식접촉한 이래 비교적 활발한 교류를 유지하고 ... , 남북 사회문화 교류협력 심화를 위한 실천과제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남북 사회문화 교류협력 심화를 위한 실천과제.hwp( 32 )
레포트/인문사회
학술교류는 1989년 런던의 「유럽한국학대회」에서 남북한학자가 처음으로 公式 접촉한 이래 비교적 활발한 교류를 유지하고 ...
학술교류는 1989년 런던의 「유럽한국학대회」에서 남북한학자가 처음으로 公式(공식)접촉한 이래 비교적 활발한 교류를 유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총 154건이 성사되었으나 남북한 학자들간의 직접적인 왕래는 9건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