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급성 호흡곤란의 평가와 기관 삽관 適應(적응)증의 임상적 결정요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05 02:32
본문
Download :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급성 호흡곤란의 평가와 기관 삽관 적응증의 임상적 결정요소.hwp
또다른 교과서인 Tintinalli의 기관지 천식항목에는 2)
warning signs of severe asthma (436쪽 2판, 표 71-5), Clinical stage of asthma according to arterial blood gases( 표 71-6)나, 입원 적응증 ( 표 71-7)등은 있으나 명백한 언급은 없으며
기관내 삽관과 기계보조호흡의 적응증으로 (437쪽)
초치료에 실패 하거나 과이산화탄소증이나 산증이 진행 하거나 탈진, 혹은 의식變化(변화)를
들고 있으며 만성 폐쇄성 기관지염에서의 기관내 삽관과 기계보조호흡의 적응증으로는(437쪽)
산소포화도를 90 %이상 유지할수 없을 때, 심한 과이산화탄소혈…(省略)
,의약보건,레포트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급성 호흡곤란의 평가와 기관 삽관 適應(적응)증의 임상적 결정요소






순서
다. 한국에서 응급의학과의 교과서로 흔히 참고되는 Rosen의
설명
Emergency medicine에 의하면1) 기관지 천식환자나, 만성 폐쇄성...
Download :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급성 호흡곤란의 평가와 기관 삽관 적응증의 임상적 결정요소.hwp( 73 )
한국에서 응급의학과의 교과서로 흔히 참고되는 Rosen의 Emergency medicine에 의하면1) 기관지 천식환자나, 만성 폐쇄성... ,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급성 호흡곤란의 평가와 기관 삽관 적응증의 임상적 결정요소의약보건레포트 ,
레포트/의약보건
한국에서 응급의학과의 교과서로 흔히 참고되는 Rosen의
Emergency medicine에 의하면1) 기관지 천식환자나, 만성 폐쇄성 기관지염이 악화된 환자가
초치료에 reaction 하지 않으며, FEV1 <25 % and PaCO2 > 40 mmHg이면 기관내 삽관을 고려하고
무호흡이거나 혼수(coma)가 아니면 절대적인 적응증은 없고, 상대적인 적응증으로
지속적인 과이산화탄소혈증, 탈진, 의식의 저하, 폐기능이 계속 나쁘거나, 나빠질때라고 되어있으며 적응증에 대한 명확한 언급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