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6 20:28
본문
Download : 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hwp
한반도의동북아물류중 , 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법학행정레포트 ,
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에 대해 조사한 자료(資料)입니다. 이외에도 크라스키노와 훈춘을 연결하는 노선이 있지만, 국경지역의 관리체제문제로 인하여 그 동안 운행이 지연되었으나, 2000년 2월 25일 운행을 처음 하였다.
Download : 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hwp( 87 )
한반도의동북아물류중
레포트/법학행정
,법학행정,레포트
러시아 극동지역의 철도망은 아무르주, 유태자치주, 하바로프스크, 연해지역을 통과하는 시베리아횡단철도(TSR), 아무르주와 하바로프스크 지방을 통과하는 바이칼 아무르철도 및 양선을 연결하는 지선으로 구성되어 있다아 기간노선인 시베리아횡단철도는 극동과 러시아의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국내수송의 역할만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극동지역의 주요 항만을 통한 연계수송에 의해 러시아 및 그 인접지역(구주, 중국(中國), 몽골, 카자흐스탄 등)과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을 연결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아
대외 연계노선으로는 중국(中國)과는 우스리스크˜포그라니치누이˜수분하˜모단강선이 있으며, 북한과는 블라디보스톡˜하산˜두만강˜청진선이 있지만, 북한선은 화물이 없어 대부분 이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
설명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