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축의 歷史 - 현대건축에서의 한국전통의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27 05:49
본문
Download : 한국건축의 역사 - 현대건축에서의 한국전통의 의미.hwp
한국건축의 歷史 - 현대건축에서의 한국전통의 의미
한국건축의 역사 - 현대건축에서의 한국전통의 의미 , 한국건축의 역사 - 현대건축에서의 한국전통의 의미공학기술레포트 , 한국건축의 역사 - 현대건축에서의 한국전통의 의미
Download : 한국건축의 역사 - 현대건축에서의 한국전통의 의미.hwp( 72 )
순서
한국건축의,역사,-,현대건축에서의,한국전통의,의미,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한국건축의 歷史 - 현대건축에서의 한국전통의 의미
한국건축의 역사(歷史) Report
( 현대건축에서의 한국전통의 의미 )
목 차
1. 수졸당
2. 임거당
3. 미제루
1) 수 졸 당
- 건축가 : 승효상
- 위치 : 서울 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102-14번지
- 대지면적 : 234.40㎡
- 건축면적 : 117.54㎡
- 연면적 : 195.50㎡
- 규 모 : 지하1층 지상 2층
- 외부마감 : 드라이비트 시스템 (THK50 스티로폼)
- 건축년도 : 1993년
- 수상 : 김수근 culture상 수상
건축 culture 대상 본상 수상
전통적인 공간의 구성, 마당, 담장 등을 계획하였다.
“빈자의 미학” 여기에선, 가짐보다 쓰임이 더 중요하고, 더함보다는 나눔이 더 중요하며, 채움보다는 비움이 더욱 중요하다. 오른편으로 들어가면 현관이고, 왼편에 흙마당이 딸린 사랑방이 따로 있다
돌담 너머로…(skip)
설명
다. 일단 안으로 들어서면 기와를 얹은 나지막한 돌담과 먼저 마주한다.
- 수졸당의 전체 구성
전체 구성은 현관을 기준으로 사랑방은 별도로 떼어내고, 거실과 안방이 함께 안뜰을 둘러싸는 ‘ㄷ’자 모양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한옥의 창살문이 연상되는 대문을 통해 들여다본 안쪽의 분위기는 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