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o.co.kr 몸을 기르는 것은 마음을 기르는 것과 다른가? - > milo2 | milo.co.kr report

몸을 기르는 것은 마음을 기르는 것과 다른가? - > milo2

본문 바로가기

milo2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몸을 기르는 것은 마음을 기르는 것과 다른가?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24 16:41

본문




Download : 몸을 기르는 것은 마음을 기르는 것과 다른가 -.hwp





권1. 총론(總論), 양심지편(養心志篇), 보신체편(保身體篇), 신기거편
(愼起居篇) 성기욕편(省嗜慾篇).

권2. 절음식편(節飮食篇), 순천지편(順天地篇), 조절서편(調節序篇),

잉육편(孕育篇).

권3. 복용편(服用篇), 미곡편(米穀篇), 초목편(草木篇), 금수편(禽獸

篇…(skip)

권4. 도인편(導引篇), 고치집신법(叩齒集神法), 요천주법(搖天柱法),



다. 글
그대로 아무 것도 구하는 것이 없는 노인이란 뜻이리라. 본 연구에 사용
된 data(자료)는 일본 내각문고 소장의 것으로 위에서 說明(설명) 한 것과 같은 책이다.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조 중기에 ...


1. 연구의 목적


몸을 기르는 것은 마음을 기르는 것과 다른가? -


레포트/생활전문

1. 연구의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조 중기에 ... , 몸을 기르는 것은 마음을 기르는 것과 다른가? -생활전문레포트 ,




순서

,생활전문,레포트

Download : 몸을 기르는 것은 마음을 기르는 것과 다른가 -.hwp( 85 )




몸을%20기르는%20것은%20마음을%20기르는%20것과%20다른가%20-_hwp_01.gif 몸을%20기르는%20것은%20마음을%20기르는%20것과%20다른가%20-_hwp_02.gif 몸을%20기르는%20것은%20마음을%20기르는%20것과%20다른가%20-_hwp_03.gif 몸을%20기르는%20것은%20마음을%20기르는%20것과%20다른가%20-_hwp_04.gif 몸을%20기르는%20것은%20마음을%20기르는%20것과%20다른가%20-_hwp_05.gif



설명

1. 연구의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조 중기에 이창정(李昌庭)이 지은 수양총서류집에
보이는 신체사상을 밝히려는 것이다. 수양총서류집은 조선 제 16대 仁祖
(1623-1649在位)때에 충청수사를 역임한 이창정(李昌庭, 1573-1625)이 1620
년에 편술한 의서이다. 무구옹이란 편자인 이창정이 호이다. China 명대의 호문환(胡文煥)이 저술한 《수양총
서》를 알기 쉽게 한 것으로 원래는 상, 하2권 2책으로 되어 있었으나 일
본에서는 《수양총서류집》 4권 4책 조선 무구옹(無求翁) 편이라 하여 관
문(寬文) 9년(1669)에 간행되었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Total 17,737건 555 페이지

검색

REPORT 11(sv76)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milo.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milo.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