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11 08:07
본문
Download : 수질관리.hwp
특히 겨울에 수면은 0℃ 이하인 반면 더 깊은 곳의 물은 4℃정도로 물이 비교적 안정한 상태로서 수직적인 혼합이 없게 된다
겨울, 여름 : 정체현상이 생겨 수심에 따른 온도차와 DO 차가 크게 나타난다.
- 봄에는 물이 점차 따뜻해져서 가벼운 물이 밀도가 큰 물위에 놀이게 되며 온도차가 커 져서 순환현상, 즉 수직운동은 점점 상부층에만 국한된다 가을이 되면 수면의 수온이 내려가면서 수직적인 정체 현상은 파괴되고 저수지의 물의 수직혼합이 활발히 진행되 어 분명한 열밀도층의 구별이 없어지게 된다
봄, 가을 : 순환현상이 생겨 수심에 따른 온도차와 DO농도의 變化가 적다.
레포트/생활전문
수질관리3



Download : 수질관리.hwp( 35 )
하천에서는 BOD를 측정하는 반면 호소에서는 왜 BOD대신 COD를 측정하는가에 대상으로하여 설명(explanation)하고 있다.
2. 부영양화
⑴ 정이
- 해양이나 호소에 있어 영양염류가 적은 수역을 빈영양이라고 하는 반면 영양염류가 많 은 수역에는 조류가 많이 발생하여 투명도가 낮은데 이와같은 수역을 부영양이…(skip)
설명
,생활전문,레포트
순서
수질관리
다.수질관리3 , 수질관리생활전문레포트 ,
• 호소 또는 저수지의 전도현상 (Turn-over)
- 계절멸로 정체와 순환을 반복하는 과정을 말한다.
] - 물의 수직운동이 없는 겨울이나 여름에 일어나며 겨울보다 여름의 정체가 더 뚜렷히 생 긴다.
하천에서는 BOD를 측정하는 반면 호소에서는 왜 BOD대신 COD를 측정하는가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