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악론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03 23:22
본문
Download : 정약용의 악론 요약.hwp
혹 으쓱하게 마음에 만족한 바가 있으면 거기에 음탕한 것이 있기도 하며, 혹 발끈하게 충격된 바가 있으면 성내는 때도 있으며, 혹 슬퍼하기도 하며, 혹 두려워하기도 하며, 혹 노려보기도 하며, 혹 원망하기도 하여 그 마음이 和樂함을 얻을 때가 없다.
Download : 정약용의 악론 요약.hwp( 14 )
순서
서평감상/서평
정약용 선생의 악론이란 글을 읽고나서 그 느낀 바를 써보려고 한다. 그 이유는 七情이 마음 속에 얽혀서 中和되지 못했음이다. 그러므로 韶樂이 완성되매 모든 관원은 성실하게 和合하고 조정이 賓客이 德으로 서로 사양하…(생략(省略))
讀後感-악론정약용
정약용선생이 쓴 악론에 대한 요약과 감상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우선 그 본문을 紹介해 볼까 한다.
정약용의 악론 요약


,서평,서평감상
다. 전악은 음악을 맡았을 뿐인데, 사람을 가르치라는 것은 어찌하라는 것인가.
아아, 사람은 능히 제대로 착하지 못하고 반드시 가르친 다음에 착하게 된다된다. 마음이 화락하지 못하면 온 몸이 따라서 어그러지게 되고, 動作하는 데에도 모두 법도에 잘못하게 된다된다.
악론 1
옛날 有虞氏가 夔에게 명하기를 ‘너에게 典樂하기를 명하노니 冑子를 가르치라’ 하였다. 까닭에 聖人은 거문고, 비파, 종, 북, 경쇠, 피리따위의 음을 만들어 아침 저녁으로 귀에 젖게 하고 마음에 흘려 들어 그 血脈을 鼓動시킴으로써 그 和平하고 화락한 뜻을 誘發하도록 하였다.독후감-악론정약용 , 정약용의 악론 요약서평서평감상 ,
설명
정약용선생이 쓴 악론에 대한 요약과 감상글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