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체장애] 신경성 증후군(뇌성마비, 진행성 근위축증, 척수성 소아마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4 07:25
본문
Download : [지체장애] 신경성 증후군(뇌성마비, 진행성 근위축증, 척수성 소아마비).hwp
I. 뇌성마비 (cerebral palsy) 뇌성마비는 수태부터 생후 1개월까지의 신생아기에 뇌손상으로 비진행성 병변이 발생하고, 그 결과 지..
Download : [지체장애] 신경성 증후군(뇌성마비, 진행성 근위축증, 척수성 소아마비).hwp( 29 )
방송통신/기타
순서
설명
지체장애,신경성,증후군,뇌성마비,진행성,근위축증,척수성,소아마비,기타,방송통신
[지체장애] 신경성 증후군(뇌성마비, 진행성 근위축증, 척수성 소아마비)..
I. 뇌성마비
(cerebral palsy)
뇌성마비는 수태부터 생후 1개월까지의 신생아기에 뇌손상으로 비진행성 병변이 발생하고, 그 결과 지체의 수의운동장애, 운동기능 마비, 자세이상 등의 신경성 운동기능장애를 초래한다.
따라서 뇌성마비의 주 장애는 뇌병변으로 인해 생기는 운동장애며, 수반장애로는 정신지체, 시각장애, 언어장애, 청각장애, 정서장애, 학습장애, 간질 등을 동반할 때도 있다
미국뇌성마비학회(The American Academy on Cerebral Palsy : AACP)에서는 뇌성마비를 생리적, 부위별로 분류하고 있다 생리적 분류는 경직형, 불수의운동형, 운동실조형, 강직형, 진전형으로 나눌 수 있다
뇌성마비의 부위별 분류로는 단마비, 대마비, 편마비, 삼지마비, 양마비, 사지마비로 구분할 수 있다(아래의 표 참조).
[표] 뇌성마비의 부위별 분류와 분포
II. 진행성 근위축증(muscular dystrophy)
근이 영양증, 척수성 근위축증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는 근위축증이란 진행성의 근위축을 보이고, 근육조직검사에서 근육의 괴사 및 재생 과정을 보이며, 근섬유의 크기가 고르지 않고, 근섬유가 괴사된 자리에 지방 및 섬유화 조직으로 대치되는 모든 근질…(skip)
I. 뇌성마비 (cerebral palsy) 뇌성마비는 수태부터 생후 1개월까지의 신생아기에 뇌손상으로 비진행성 병변이 발생하고, 그 결과 지.. , [지체장애] 신경성 증후군(뇌성마비, 진행성 근위축증, 척수성 소아마비)..기타방송통신 , 지체장애 신경성 증후군 뇌성마비 진행성 근위축증 척수성 소아마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