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 [교육학] Gardner의 다중지능理論(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02 05:57
본문
Download : [교육학]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hwp
2) 교사의 역할과 기능
① 교사는 기존의 논리-수리 영역과 언어영역을 강조하는 측정(measurement)이 아닌 다양한 측정(measurement)방법을 통하여 학생의 지능을 측정(measurement)할 수 있어야 한다.
3. 지능의 종류
1) 언어적 지능 : 시인이나 언론인, 문학가에게서 나타나는 재능으로, 언어의 소리, 리듬 및 언어의 다양한 기능을 민감하게 파악하는 능력을 말한다.
6) 대인관계 지능 : 종교인, 세일즈맨 등에서 발견되는 재능으로, 다른 사람의 기분, 기질, 동기 및 의도를 식별하고 그에 적절하게 reaction response하는 능력, 다른 사람이 일을 하도록 동기 유발시키는 능력을 말한다.
2. 기본 입장
1) 지능은 단일한 것이 아니라 서로 별개로 구분되는 9개의 지능들로 구성된다된다. : 예를 들어, 말을 할 수 없는데도 미술적인 재능을 지니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이다. : 예를 들어, 문장으로 된 수학문제를 풀 때 언어 지능과 논리-수학적 지능이 함께 작동해야 문제를 풀 수 있게 된다된다.
5) 운동감각지능 : 운동선수와 무용가에게서 나타나는 재능으로, 자신의 신체움직임을 조정하고, 사물을 능숙하게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3) 공간적 지능 : 건축가, 예술가, 기술자에게 나타나는 재능으로, 사물을 정확하게 지각하기, 시각, 공간적 세계를 정확히 지각하고 그 지각한 내용을 머리 속에서 변형하고 회전시켜 볼 수 있는 능력이다.
순서
교육학,Gardner,다중지능이론,사범교육,레포트
레포트/사범교육
[교육학] Gardner의 다중지능理論(이론)
[교육학] Gardner의 다중지능理論(이론)
설명
[교육학]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 [교육학]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사범교육레포트 , 교육학 Gardner 다중지능이론
다.
3) 학생의 뛰어난 지능, 곧 재능을 발견하여 직업수준까지 개발하여 주어야 한다.
9) 실존지능 : 처음에는 영적인 지능으로 불렀던 지능으로 인간의 존재이유, 삶과 죽음의 문제 등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아동기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반쪽 지능이다.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理論)
1. 지능의 개념(槪念)
1) Gardner는 전통적인 지능검사가 지능을 단일 능력요인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학교교육에서 중요시되는 언어적 능력과 논리-수학적 능력만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7. 다중지능이론(理論)의 교육적 시사점
1) 모든 학생은 최소한 하나의 우수한 지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학생이 어려워하는 교과목을 이 지능을 이용하여 가르치면 성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2) 즉, 기존의 교육과정에서처럼 각 교과를 모두 가르치되 각 교과의 내용을 각 학생의 탁월한 지능을 활용하여 제시한다.
4) 지능은 훈련이 가능하며, 개인의 잠재적 지능이 얼마나 실현될 수 있는지는 環境(환경)에 달려있다
5) 지능의 발달 속도는 지능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어느 한 종류의 지능에 과도하게 집중할 경우 다른 지능의 발달이 늦어지게 된다된다.
4. 수행평가 또는 포트폴리오를 통한 측정(measurement)
-…(省略)5. 각 지능을 활용하는 수업전술
1) 언어지능 : 동화구연, 소리내어 읽기, 시/일기 쓰기/글짓기/신문 만들기
2) 논리-수리 지능 : 학습내용에 나오는 숫자 계산하기, 분류하기, 소크라테스 문답법 활용하기, 문제의 해법 추정하기
3) 공간지능 : 학습내용을 그림, 그래프 또는 심상으로 그려보기, 학습자료(data)에 색칠하여 요소 구분하기
4) 운동감각기능 : 신체 동작으로 답 말하기, 학습내용을 연극/동작으로 표현하기, 학습자료(data)를 직접 조작하기
5) 음악지능 : 학습내용과 연관된 노래하기/리듬 치기, 학습주제와 맞는 음악으로 분위기 조성하기
6) 대인관계지능 : 집단학습, 협동학습의 활용
7) 개인내적 지능 : 수업내용을 학생 자신에게 유의미하게 제시하고, 수업에서 자신의 目標(목표) 설정하기, 자료(data)에 대한 느낌, 감정 표현하기
8) 자연탐구지능 : 수업자료(data)나 내용에서 요소간 차이나 공통점, 특징 발견하기
6. 다중지능이론(理論)에 근거한 future(미래) 학교
1) 개인중심학교 : 다양한 분야의 지능을 개발함으로써 학생 각자가 적성을 발견하여 학습에서 성공할 수 있게 해야 한다.
8) 자연observe 지능 : 동식물이나 주변에 있는 사물을 자세히 observe하여 차이점이나 공통점을 찾고 分析하는 능력으로 사냥꾼, 과학자 등에게서 나타난다.
2) 지능은 문제해결능력 : Gardner는 “지능이란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또는 특정 文化(culture) 상황에서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을 만들어내는 능력”으로 定義(정의)하여 文化(culture) 와 상황에 따라 다른 지능이 요구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3) 지능은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
Download : [교육학]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hwp( 20 )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