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학기 현대문학강독 기말시험 core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4 08:11
본문
Download : 20111기말_국문3_현대문학강독.pdf
제1부 시편 1. 주요한 편 2. 김 억 편 3. 이상화 편 4. 김소월 편 5. 한용운 편 6. 정지용 편 7. 김영량 편 8. 신석정 편 9. 이용악 편 10. 백 석 편 11. 이 상 편 12. 김기림 편 13. 김광균 편 14. 서정주 편 15. 유치환 편 16. 이육사 편 17. 박두진 편 18. 조지훈 편 19. 박목월 편 20. 윤동주 편 제2부 소설편 1. 안국선 편 2. 이해조 편 3. 이광수 편 4. 김동인 편 5. 현진건 편 6. 염상섭 편 7. 최서해 편 8. 조명희 편 9. 이기영 편 10. 한설야 편 11. 강경애 편 12. 박화상 편 13. 채만식 편 14. 이 상 편 15. 이효석 편 16. 이태준 편 17. 김유정 편 18. 박태원 편 9. 박영준 편 20. 김정한 편 - 출제예상문제(해설 포함)
9. 이용악 편 10. 백 석 편
Download : 20111기말_국문3_현대문학강독.pdf( 88 )
방송통신 > 기말시험
제1부 시편
(2) 1920년대 현대시
17. 박두진 편 18. 조지훈 편
(3) 1930년대 현대시
15. 유치환 편 16. 이육사 편
7. 김영량 편 8. 신석정 편
② 동인지: 시문학(1930), 문예월간(1931), 시인부락(1936), 자오선(1937), 삼천리 문학(1938), 문장(1939), 인문평론(1939)
[한국현대시 개관]
15. 이효석 편 16. 이태준 편
7. 최서해 편 8. 조명희 편
① 개관: 1910년 최남선 등의 신시에 대한 거부와 반동에서 탄생하였으며 문예동인지 20년대 시들은 주로 교훈시에 반발하는 순수 서정시를 지향
③ 1930년대 ‘시인부락’이 생겨 시문학파의 예술지상주의적 순수문학을 인간주의적 순수문학으로 심화시킴
1. 주요한 편 2. 김 억 편
13. 김광균 편 14. 서정주 편
2011년 1학기 현대문학강독 기말시험 core체크
13. 채만식 편 14. 이 상 편
제2부 소설편
3. 이상화 편 4. 김소월 편
방통대,방송대,기말시험,방통대기말시험,방송대기말시험,방송통신대기말시험,현대문학강독,현대문학강독기
9. 박영준 편 20. 김정한 편
19. 박목월 편 20. 윤동주 편
- 중략 -





(1) 주요한의 ‘불놀이’는 종래의 시 형식을 타파하고 새로운 자유시를 창조하려는 의지를 보여줌
9. 이기영 편 10. 한설야 편
11. 강경애 편 12. 박화상 편
② 20년대 문예지: 태서문예신보(1918), 창조(1919), 폐허(1920), 장미촌(1921), 백조(1922), 영대(1924) 등
제1부 시편
3. 이광수 편 4. 김동인 편
5. 현진건 편 6. 염상섭 편
설명
순서
17. 김유정 편 18. 박태원 편
11. 이 상 편 12. 김기림 편
1. 안국선 편 2. 이해조 편
- 출제예상문제(해설 포함)
5. 한용운 편 6. 정지용 편
① 개관: 김영랑, 정지용 등의 ‘시문학파’는 한국시의 길을 마련함으로써 20년대와 30년대의 경계를 뚜렷이 함. 즉 참다운 시, 순수서정시에 대한 명확한 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어에 대한 자각을 구체화함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