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KT, 未來(미래)형 초고속망 구축 시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3 16:18
본문
Download : 200303.jpg
KT는 18일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KT 북대전지점과 대덕연구센터간 하향 622Mbps, 상향 155Mbps의 속도를 제공하는 수동형광가입자망(B-PON:Broadband Positive Optical Network) 시험망 구축에 성공, 未來형 초고속인터넷(Internet)서비스 구현의 교두보 확보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유 실장은 이어 “올해 중반까지 시험망 가동과 장비 벤치마킹테스트(BMT)를 실시하고 하반기에는 상용망으로 구축에 들어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KT 기술연구소 광액세스연구실 유선일 실장은 “이 기술이 완전히 상용화되면 각 가정까지 저렴한 비용으로 광케이블이 연결돼 가입자망의 가장 진화된 형태인 수백Mbps∼ 급 속도로 초고속인터넷(Internet)이 연결되는 FTTH의 구축이 앞당겨질 것”이라며 “기업이나 빌딩 등 소규모 집단(그룹)에는 이번에 시험망을 구축한 B-PON을 앞세워 未來형 초고속인터넷(Internet)서비스 구현에 나설 방침이며 개인 가입자의 경우는 현재 연구개발중인 WDM-PON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중 B-PON은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 방식으로 빌딩 등 소규모 집단에 적용이 유리하고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광네트워크(WDM-PON)는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이어서 말 그대로 댁내광케이블(FTTH:Fiber To The Home)용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KT, 未來(미래)형 초고속망 구축 시동
순서
KT, 미래형 초고속망 구축 시동
KT, 未來(미래)형 초고속망 구축 시동
KT(대표 이용경)가 고품질·저비용으로 대변되는 未來형 초고속망 구축에 나섰다.





이에 따라 ATM·IP·음성·영상 등 기존의 초고속인터넷(Internet)서비스뿐만 아니라 HDTV, 고화질 VOD, 홈네트워킹 등 광대역을 요구하는 未來형 인터넷(Internet)서비스를 고속·고품질 광케이블 단일망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될 展望(전망) 이다.
Download : 200303.jpg( 61 )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
설명
레포트 > 기타
한편 이번 시험망 구축은 KT 기술연구소가 주도하고 LG전자·웰링크 등 국내 장비제조업체를 주축으로 한 ‘일반주거용 광가입자전송장치 기술협의회’ 회원사 10여개사가 1년여 만에 완료했다.
PON 방식은 광케이블상에 수동소자를 사용해 하나의 광선로종단장치(OLT:Optical Line Termination)에 여러 개의 광선로가입자장치(ONU:Optical Network Unit)를 연결시킬 수 있어 광선로를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더러 저렴한 비용으로 망을 구축할 수 있는 초고속전송 기술이다. WDM-PON은 현재 연구개발중이고 B-PON의 상용시스템 개발은 우리나라가 처음이다. 특히 가입자들은 이를 통해 세계 처음으로 서비스와 전송속도 등에 대한 제약이 없는 꿈의 신기술을 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T, 미래형 초고속망 구축 시동
다. 해외에서는 미국의 SBC, 프랑스의 FT, 영국의 BT, 일본의 NTT 등이 필드테스트를 진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