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보육시설의 histor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2 05:19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역사.hwp
-> 보건복지부에서 관장하던 어린이집, 농촌진흥청에서 관장하던 농번기 탁아소 등 유치원을 제외한 보육관련 시설을 ‘새마을 유아원’으로 통합하고 내무부가 관장
순서
-> 1926년 부산 공생탁아소와 대구탁아소
-> 보육사업의 관장 부서가 보건복지부, 내무부, 교육부, 노동부 등 여러 부처에서 운영됨에 따라 예산의 중복 투자, 시설과 종사자 기준의 상이 등으로 인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보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움
-> 탁아소의 명칭도 어린이집으로 변경
-> 탁아소를 법정 아동복지시설로 인정하고 보육시설의 설치기준, 직원 배치 기준, 보육기관, 보호내용 등을 규정
-> 빈민층 가정의 자녀를 단순히 보호해 줄 목적으로 고아원과 큰 차이 없는 임시 구호적인 성격을 띰
이미 공부했던 내용들을
-> 1921년 서울의 태화기독교사회관이 빈민 아동을 위한 구제사업의 일환으로 탁아호로그램을 개발함으로 시작
이미 공부했던 내용들을 깔끔하게 정리 해 두었습니다.
-> 보육시설의 양적인 팽창은 이루어 졌으나 탁아 서비스의 질적인 수준이 미흡
2, 우리나라 보육사업의 歷史(역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우리나라, 보육시설, 보육, 시설
-> 1939년 전국에 관립 1개소, 공립 2개소 등 11개소의 공사립 보육시설에서 435명의 어린이가 보육을 받음
깔끔하게 정리(arrangement) 해 두었습니다. 잘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얻으세요^^*
설명
-> 1961년 아동복리법이 제정, 공포
탁아사업은 종래의 구빈사업적 성격을 벗어나 아동의 복리를 증진시키기 위한 사업으로 변화, 발전
->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을 제정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history
2) 아동복리법 제정 시기(1961-1981)
4) 영유아보육법 제정 시기(1991-2003)





2, 우리나라 보육사업의 歷史(역사)
-> 1987년 직장 탁아제 도입
-> 1989년 보건복지부에서 아동복지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보육사업실시
1, 우리나라 보육사업의 시작
3) 유아교육진흥법 제정 시기(1982-1990)
Download :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역사.hwp( 25 )
1, 우리나라 보육사업의 시작
잘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얻으세요^^*
-> 광복 이후부터 1960년까지는 외국인 원조에 의한 수용보호시설이 설립
3, 보육시설의 당위성
-> 우리나라의 보육사업은 1921년 서울에서 ‘태화기독교사회관’이 탁아호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시작
-> 제 5공화국은 유아교육을 정부의 주요 개혁 시책의 하나로 채택
1) 탁아호로그램 시기(일제시대-1960)
-> 민간설립의 보육시설이 증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