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e Bridge 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measureme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6 04:15
본문
Download : [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hwp
experiment(실험)에서 experiment(실험)값에 影響(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두 가지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average(평균) 5% 미만의 오차가 나왔다. 특히 experiment(실험) 1-1에서는 오차율이 0.63%로 매우 정확한 값이 나왔다. 이론은 미지저항 는 저항값을 알고 있는 기지저항 ,,를 이용하여 그 값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멀티미터를 이용해서 직접 미지저항을 측정한 가 experiment(실험)을 통해 알아낸 experiment(실험)값 보다 항상 작았다. 그것은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없는 부분이라 우리는 두 명이서 각각 한 번씩 멀티미터로 저항을 측정하고 average(평균)값을 선택했다. 그 식은 로 표현되어지고, 저항의 definition 인 를 식에 대입하면 라는 최종 식이 나온다. 즉, 값이 대체로 음수가 나왔다는 점이다. 첫째는, ,의 값으로 멀티미터를 이용해서 측정하는 값이었다. experiment(실험) 3의 첫 번째 experiment(실험)을 보면, 단지 0.1 cm의 차이로 인해서 오차가 1%나 발생했다.
-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측정(measurement)한 미지저항의 저항값 : 11840Ω
![[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3634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4/%5B%EC%8B%A4%ED%97%98%EA%B2%B0%EA%B3%BC%20%EB%B3%B4%EA%B3%A0%EC%84%9C%5D%20Wheatston-3634_01.jpg)
![[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3634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4/%5B%EC%8B%A4%ED%97%98%EA%B2%B0%EA%B3%BC%20%EB%B3%B4%EA%B3%A0%EC%84%9C%5D%20Wheatston-3634_02_.jpg)
![[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3634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4/%5B%EC%8B%A4%ED%97%98%EA%B2%B0%EA%B3%BC%20%EB%B3%B4%EA%B3%A0%EC%84%9C%5D%20Wheatston-3634_03_.jpg)


이번 experiment(실험)은 다른 조 보다 나중에 experiment(실험)했기 때문에 오차가 크게 나온다는 소리를 들었다. 둘째, 저항선의 위치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한 점이다.)
설명
[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e Bridge 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measurement)
다.
(1) 미지저항의 선택 1 - 색띠를 읽어 알아낸 미지저항의 저항값 : 12000 Ω -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미지저항의 저항값 : 11840Ω
(1) 미지저항의 선택 1
[3] 오차 논의 및 검토
이번 experiment(실험)은 Wheatstone Bridge 를 이용해서 미지의 저항을 직접 측정해 보는 experiment(실험)이었다. 논의를 한 결과 이곳에서 나오는 저항기의 허용오차 때문에 experiment(실험)전체의 오차가 발생했을 확률이 크다고 생각한다. experiment(실험)에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우리는 가능한 한 미지저항을 큰 값으로 선택했다. 이 식을 통해 우리는 미지의 저항값을 측정 할 수가 있었다. 오차를 줄이려면 experiment(실험)에서 쓴 탄소피막 저항기 말고 다른 저항기를 사용해야 할 것 같다. 그러나 experiment(실험)결과 오차는 그렇게 크지 않았다.
순서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Download : [실험결과 보고서] Wheatston.hwp( 79 )
- 색띠를 읽어 알아낸 미지저항의 저항값 : 12000 Ω
실험결과 보고,Wheatstone Bridge,미지저항 측정
(오차 논의 및 검토는 같이 썼습니다. 이 부분에 마주향하여 는 오차 및 검토 부분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매뉴얼에 제시되어 있는 대로 우리는 최소 측정단위인 25㎂까지 해서 충분한 움직임을 관찰했다. ,는 앞선 키르히호프 법칙 experiment(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었듯이 정확하게 표시된 값이 나오지 않았다. 이 experiment(실험)을 하면서 특이했던 점을 발견했다. 이것은 이 experiment(실험)에서 저항선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확실히 깨닫게 해주는 부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