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즘의 동양 시학적 가능성 고찰 / 이미지즘의 동양 시학적 가능성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0 13:26
본문
Download : 이미지즘의 동양 시학적 가능성 고찰.hwp
또 하나, 서구에서 명명된 이미지즘이란 용어를 우리가 그대로 차용하여 사용한 것도 중요한 原因으로 지적할 수 있다아 이러한 이유로 한국에서 이미지즘으로 평가받는 시들은 언제나 서구 문학theory 에 기대어 논의되거나 종속적 위상을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미지즘은 항상 서구 중심으로 논의되면서 그 발생구도의 선후가 뒤바뀌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그러한 측면에서 볼 때, 정지용의 시가 지닌 동양적 시정신을 천착해 들어가려는 그간의 몇몇 시도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주목할 만하다.
1. 머리말
이미지즘의 동양 시학적 가능성 고찰 / 이미지즘의 동양 시학적 가능성 고찰
순서
다. 외형적인 시법이나 시적 양식이 우연히 같은 시기에 나왔다고 해서 무조건적인 일대일 影響수수 관계로 설정한다는 그 자체가 문제였던 것이다. 이러한 시도들은 정지용의 ...
Download : 이미지즘의 동양 시학적 가능성 고찰.hwp( 35 )
이미지즘의 동양 시학적 가능성 고찰 - 언어관과 자연관을 중심으로 -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언어관과 자연관을 중심으로 -
이미지즘은 서구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라 동양의 한시적 전통 속에서 발생한 것이다.
설명
이미지즘의 동양 시학적 가능성 고찰 / 이미지즘의 동양 시학적 가능성 고찰
요컨대, 影響 수수관계에서 발신자와 수신자의 잘못된 구도 설정이, 마땅히 동양적 전통 속에서 이해되어야 하는 이미지즘을 서구의 影響으로 왜곡시켜 온 주된 原因이다. 이미지즘에 속하는 시적 특징들이 동양의 시적 전통을 잇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양의 시적 전통과는 무관하게 서구에서 이입된 외래 양식으로의 규정되어 온 것이다. China의 시론에서 影響을 받은 이미지즘이 한시를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하였으며, 그 수용 과정에서 굴절되고 변질된 요소나 한계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아 이러한 고찰들이 선행되지 않은 결과 한국 현대시의 이미지즘은 한시의 전통과는 무관하게 영미 이미지즘의 影響수수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이미지즘의 동양 시학적 가능성 고찰
이미지즘의 동양 시학적 가능성 고찰 - 언어관과 자연관을 중심으로 - ...
이러한 오류가 별다른 문제없이 계속 답보되어 왔던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문학 연구자들의 관성적인 접근을 들 수 있다아 서구 문학의 影響이 강하게 작용했던 1920년대 한국시단의 상황에서 당시 유행하던 영미 이미지즘과 유사한 형태를 지닌 시들은 자연스럽게 서구의 影響에 귀속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