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리 - 린 건설에 마주향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10:38
본문
Download : 건설관리 - 린 건설에 대해서.hwp
건설관리 - 린 건설에 마주향하여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다품종 소량 생산 - 적시 생산이며 재고를 남기지 않는 원리
1. 린의 원리 2. 린 건설 3. LPS(Last Planner System) 4. 린 건설의 장∙단점 5. 린 건설과 기존 건설 참고문헌
⋅셀(cell)별 레이아웃 - 유닛 별 생산 체계의 원리
순서
⋅흐름 생산(Flow) - 활동 중심이 아닌 흐름 중심의 체계
2. 린 건설
3. LPS(Last Planner System)
건설관리 - 린 건설에 대해서
출처
⋅지속/병용/소형 장비 사용 - 단품 대량 생산이 아닌 다품 소량 생산
다. 주로 제조 산업에서 사용되어진 LPS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1. 린의 원리
Download : 건설관리 - 린 건설에 대해서.hwp( 19 )
5. 린 건설과 기존 건설
⋅평준화 생산 - 생산에 대한 효율과 안정적인 생산 체계
4. 린 건설의 장∙단점
설명
린의 생산 원리에서는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생산 관리 도구로 LPS(린 제조 시스템, Lean Production System)을 사용한다. 린 시스템의 궁극적인 goal(목표) 는 프로젝트 관리 방식의 새로운 관념으로써 낭비(Waste)를 제거하는 것이다. 린 원리에서는 가치를 창출하지 않는 (Non Value adding) 모든 활동을 낭비로 규정하고 있으며, 생산에 투입되는 자원에 대하여 창출되는 가치가 최대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낭비를 제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