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地方選擧)의 절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4:30
본문
Download : 지방선거의 절.hwp
이처럼 선거일을 법정화 하면 여당과 야당이 서로 유리하다고 생각하는 날을 택하기 위하여 논란을 벌이는 일을 피할 수 있다.





4. 투표 및 개표
순서
우리나라의 모든 선거일은 1994년에 제정된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이하 공선법이라 한다) 제33조에 규정됨으로써 법정화되었는데, 지방선거일은 “임기 만료일 전 60일 이후 첫 번째 목요일”이다(공선법 제33조 1항 3).
선거 선거절차 지방선거 선거인명부 투표 / (선거)
1. 선거일 결정 및 공고
설명
선거 선거절차 지방선거(地方選擧) 선거인명부 투표 / (선거)
선거 선거절차 지방선거 선거인명부 투표
3. 후보자 등록
지방선거(地方選擧)의 절차
2. 선거인명부 작성
5. 당선인 결정 1. 선거일 결정 및 공고
레포트 > 기타
Download : 지방선거의 절.hwp( 35 )
2. 선거인명부 작성
지방선거를 임기만료 등 그 실시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일정한 기간 안에 실시하되, 그 실시를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일정기간 이전에 공고하도록 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우리나라의 선거일 결정제도였다. 이와 같은 선거인명부제의 중요한 목적은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다만 이런 선거일 결정공고가 불확실성이 있음을 이유로 특정일을 선거일로 미리 법률로 지정하여 놓는 경우도 없지 않다.
선거인명부는 선거권자를 확인·공증하고 선거인의 범위를 확정하는 공공문서이며, 선거권을 가진 자는 반드시 선거인명부에 등재되어야만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다.
(1) 선거인명부의 의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