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상 부당결부금지의 원칙에 대하여 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27 00:18
본문
Download : 행정법상 부당결부금지의 원칙에 대하여1.hwp
2. 부관에 의해 당해 행정행위에 반대급부를 결부시키는 경우
부관의 한계문제로 관계법상의 목적과 무관한 다른 목적을 위한 부관은 위법하다.
III. 내용 및 적용영역
1. 공법계약을 체결하는데 있어 반대급부를 결부시키는 경우
(1) 독일연방행정절차법
교환계약을 체결하는데 있어 상대방의 반대급부는 전사정에 비추어 합당하며 관청의 계약상의 급부와 실체적인 관련이 있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II. 근거
이러한 부당결부금지의 원칙은 행정기관의 자의의 금지(비례원칙,적합성의 원칙) 및 법치주의 원칙에서 도출되는 것으로 헌법적 지위를 갖는다. 행정법상 부당결부금지의 원칙에 대하여 1


순서
Download : 행정법상 부당결부금지의 원칙에 대하여1.hwp( 37 )
설명
행정법상 부당결부금지의 원칙에 대하여 1
레포트/법학행정
행정법상,부당결부금지,원칙,대하여,법학행정,레포트
부당결부금지의 원칙에 대한 행정법상 검토
I. 부당결부금지의 의의
행정법상 부당결부금지의 원칙이란 행정기관이 고권적 조치를 취함에 있어서 그것과 실체적 관련이 없는 상대방의 반대급부를 행정작용의 조건으로 해서는 안된다는 원칙을 의미한다.
(2) 실예
자치단체가 공급하는 온수를 이용할 것을 조건으로 하는 수도공급계약의 체결, 자치단체가 취득하고 싶은 토지를 팔아야만 수도를 공급하겠다는 식의 계약은 동원칙에 위반된다된다.
또한 …(투비컨티뉴드 )
행정법상 부당결부금지의 원칙에 대하여 1 , 행정법상 부당결부금지의 원칙에 대하여 1법학행정레포트 , 행정법상 부당결부금지 원칙 대하여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