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향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14 00:11
본문
Download :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향교.hwp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
2) 양사재(養士齋)의 운영: 향교의 교육기능이 평가에만 국한되자, 조선 후기 각 향교에서는 「양사재」라고 하는 별도의 교육기구를 설치하여 운영하기도 하였다.
2) 국가는 군, 현으로 대표되는 전국의 329개 단위 행정구역에 향교를 하나씩 설립했다.
2) 통치 체제에 필요한 관료자원의 확보 : 지방에 설치된 중등 수준의 향교는 양반사족으로 대표되는 향촌사회의 인재를 국가의 이념을 교육하여 통치체제에 필요한 인적 자원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양사재는 향교의 재정과는 별도로, 설립 당시 모금한 기금으로 운영되었다.
2) 이중에서도 「소학」은 특별히 중시되었다.
3) 향촌사회의 향풍진작: ‘유덕자를 받들며 연장자를 높이고, 유교적 예의를 확립한다,’(尙有德 尊長年 興禮讓)는 이념에 입각하여, 향事例(사례)(鄕射禮), 향음주례(鄕飮酒禮), 양노례(養老禮) 등의 행사와 향약을 주관하여 향촌사회의 향풍진작에 크게 기여했다.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향교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향교
Download :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향교.hwp( 80 )
순서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