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중앙政府(정부)와 지방政府(정부)간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09 20:22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관계.hwp
③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1항의 이행명령에 이의가 있으면 이행명령서를 접수한 날부터 15일 이내에 대법원에 소를 제기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이행명령의 집행을 정지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②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1항에 따른 자치사무에 관한 명령이나 처분의 취소 또는 정지에 대하여 이의가 있으면 그 취소처분 또는 정지처분을 통보받은 날부터 15일 이내에 대법원에 소(訴)를 제기할 수 있다
①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법령의 규정에 따라 그 의무에 속하는 국가위임사무나 시·도위임사무의 관리와 집행을 명백히 게을리하고 있다고 인정되면 시·도에 대하여는 주무부장관이, 시·군 및 자치구에 대하여는 시·도지사가 기간을 정하여 서면으로 이행할 사항을 명령할 수 있다
② 주무부장관이나 시·도지사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제1항의 기간에 이행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하면 그 지방자치단체의 비용부담으로 대집행하거나 행정상·재정상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행정대집행에 관하여는 「행정대집행법」을 준용한다.
설명
[사회과학]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관계 , [사회과학]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관계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관계
[사회과학] 중앙政府(정부)와 지방政府(정부)간 관계
중앙政府와 지방政府간 관계
1) 지방政府의 행정전반에 대한 감사와 통제제도의 시행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법과 감사원법 등 관련 법령은 지방政府에 대한 중앙政府의 전면적 감사와 통제를 당연한 것처럼 생각하고 있고, 나아가 이들을 법령으로 제도화하고 있다 즉 지방자치법은 행정안전부장관 및 시도지사는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사무에 대하여 회계감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지방자치법 시행령??과 ??지방자치단체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등을 통해 지방政府의 조직과 인사에까지 통제하고 있다 그 외도 지방자치법이나 지방재정법 등을 통해 지방자치재정이나 지방政府의 재정운영 등에 대하여도 철저히 통제함으로써 지방政府와 지history회를 억누르고 있다2) 중앙행정기관장에 의한 사전 협의 내지 승인제의 강요
지방자치법을 비롯한 관련법령에서는 지방政府의 행정행위에 대한 …(투비컨티뉴드 )3) 지방政府에 대한 중앙政府의 지도 ? 감독 및 지원
4) 지방政府의 업무처리에 대한 시정명령과 제소
5) 지방政府에 대한 직무이행명령과 대집행
①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에 관한 그 장의 명령이나 처분이 법령에 위반되거나 현저히 부당하여 공익을 해친다고 인정되면 시·도에 대하여는 주무부장관이, 시·군 및 자치구에 대하여는 시·도지사가 기간을 정하여 서면으로 시정할 것을 명하고, 그 기간에 이행하지 아니하면 이를 취소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치사무에 관한 명령이나 처분에 대하여는 법령을 위반하는 것에 한한다.
[사회과학] 중앙政府(정부)와 지방政府(정부)간 관계
사회과학,중앙정부와,지방정부간,관계,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사회과학]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관계.hwp( 18 )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