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학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16 19:00
본문
Download : 협동학습_2095714.hwp
질문이 있을 때에도 손을 들고 선생님이 오시길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그룹 동료에게 즉각적으로 질문하고 해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토의나 필기를 할 때도 동시에 스타트하고 동시에 마치는 것이다.
협동학습의property(특성)기본
순서
레포트/사범교육
Download : 협동학습_2095714.hwp( 92 )
,사범교육,레포트
설명
협동학습
협동학습에 대한 글입니다.협동학습의특성기본 , 협동학습사범교육레포트 ,
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하여 수업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아이들 스스로 시간에 따라 자신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된다. 학습 를 배분할 때 교사가 전체 학생들에게 나누어주는 것이 아니라 각 소그룹의 담당자가 자기 그룹에게 나누어주는 것이다. 주제에 대해 발표시킬 때도 한번에 한 명씩 발표하는 게 아니라 모든 학생들이 둘씩 짝지어 나누게 함으로써 모두가 동시에 발표하는 것이다. 부족한 것은 별도의 시간을 주거나 숙제로 부과해서 일부 때문에 전체 진행에 무리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하던 것을 다 마치지 못했어도 그 상태로 정지시킨다.






동시다발적인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동시동작`과 `동시멈춤`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학습 스타트과 마침을 교사가 동시에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교사가 질문을 던져 한사람씩 발표하는 것보다 전체가 질문에 대하여 대답하게 하는 것이다.
2) 학습집단 : 긍정적인…(省略)
① 목표(goal) 공유하기 : 소그룹 목표(goal)가 달성됐을 때 자신의 목표(goal)가 달성됨
② 보상/격려하기 : 공동 과제(problem)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을 때 보상함
③ 정체성 공유하기 : 소그룹 이름, 구호, 깃발, 노래, 주민등록증 등을 활용
④ 외부의 적 공유하기 : 다른 소그룹간의 경쟁 유도
⑤ 과제(problem) 분담하기 : 공동과제(problem)에 대한 개개인의 구체적인 역할 분담
⑥ 상상력 공유하기 : 가상현실 등 상상력 문제를 소그룹 모두가 해결하도록 함
⑦ environment(환경) 적 요인(물리적 environment(환경) ) 조성하기 : 제한적인 를 활용하여 외부적 environment(환경) 조성
⑧ 자원 및 정보 공유하기
협동학습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