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24 06:25
본문
Download :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사.hwp
구역인왕경
처음 책에 나온 구역인왕경을 해석하려고 했지…(To be continued )
우리말발달사과제課題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싸
순서
Download :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사.hwp( 80 )
구결과 토에 관한 개념과 구역인왕경 및 일본문자에 대하여 설명했습니다. 즉 구결은 토에 의해서 지정된 한문의 독법을 말하는 것임에 대하여 토는 한문에 첨가되어 구결을 이루는 한 요소로서 한문을 우리말로 읽거나 이해하도록 지시하는 부호나 국어의 기능어, 또는 그 집합체들이라 할 수 있다 다시 쉽게 말한다면 구결에는 토가 포함되어 있을뿐 아니라 그 한문을 읽는 순서까지도 나타내고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조사중에 구결과 토에 관련되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우리말발달사과제 , 조상들은 한문 경전을 어떻게 읽었을까 한문에 토 달기, 구결의 역사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구결과 토에 관한 관념과 구역인왕경 및 日本(일본)문자에 대하여 설명했습니다.,인문사회,레포트
구결과 토에 관한 정이
이 처리해야할문제를 처음 공부할 땐 구결과 토가 같은 의미인줄 알았다. 조선시대의 기록에서는 한문에 토를 다른 것을 현결이라고도 하고 현토라고도 하였는데 이는 구결과 토를 혼용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설명
다. 즉 한문을 읽을 때 단순히 토를 다는 작업을 다른 말로 구결이라 한다고 생각했었다. 구결은 향찰, 이두와 대등한 것으로 문장이나 그 이상의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지만 토는 향찰, 이두와 비견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문장의 단위까지를 포함할 수도 없는 것으로 보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의 선인들도 구결과 토의 정이 을 엄격히 구별해서 사용해 온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