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드기 매개성 질환/세균성 질환/미생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23 13:58
본문
Download : 진드기 매개성 질환세균성 질환미생물.hwp
국내에서는 1986년에 국내도처에서 발생하고 있음이 규명되었고, 매년 수백명의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다
감염기전
사람은 우연한 숙주로 매개충은 털진드기의 유충이다.
■ 감염
역학
주로 남태평양, 극동아시아에 즉 日本 에서 파키스탄에 이르기 까지 또한 한국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한다. Karp형, Gilliam형, Kata형이 있으며, 균주에 따라 항원성의 차이가 있다 50°C에서 10분이면 사멸하며, 0.1% 포르말린, 0.5% 석탄산액에서 쉽게 죽는다. 동결 상태에서는 살 수 있으나 동결 건조하면 사멸한다.
,의약보건,레포트
설명
진드기 매개성 질환/세균성 질환/미생물
레포트/의약보건
진드기매개성질환1






쯔쯔가무시 병(Orientia tsutsugamushi)
■ 병원체
쯔쯔가무시 리켓치아는 쌍구균 또는 소간균상으로 길이 0.3-0.5㎛정도, 폭 0.2-0.4㎛이며, 세포외에서는 증식하지 못한다. 이 유충이 들쥐나 이 지역을 지나는 사람에게 우연히 감염되어 기생하게 되며, 이때 인체 감염이 일어나게 된다 일단 chigger는 조직액을 섭취한 후에 들쥐나 사람을 떠나 자연계로 되돌아가게 된다
즉 일생동안 한번만 동물에 기생…(To be continued )
순서
진드기매개성질환1 , 진드기 매개성 질환/세균성 질환/미생물의약보건레포트 ,
Download : 진드기 매개성 질환세균성 질환미생물.hwp( 62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