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병자호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30 01:28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병자호란.hwp
설명
[사회과학] ●병자호란
사회과학,●병자호란,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병자년 12월부터 1637년 1월까지 조선과 청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다. 청의 홍타이지가 명을 공격하기 이전에 배후의 안전을 확보할 목적으로 조선을 침공하였고, 인조와 조정이 남한산성에서 항전하였으나 청의 포위로 인한 굶주림과 추위, 왕실이 피난한 강화도의 함락, 남한산성의 포위를 풀기 위한 근왕병의 작전 실패 등으로 말미암아 항복하였다. 당시, 조선의 대청 방어책략은 …(省略)
[사회과학] ●병자호란 , [사회과학] ●병자호란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병자호란
Download : [사회과학] ●병자호란.hwp( 11 )
![[사회과학]%20●병자호란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B%B3%91%EC%9E%90%ED%98%B8%EB%9E%80_hwp_01.gif)
![[사회과학]%20●병자호란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B%B3%91%EC%9E%90%ED%98%B8%EB%9E%80_hwp_02.gif)
![[사회과학]%20●병자호란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B%B3%91%EC%9E%90%ED%98%B8%EB%9E%80_hwp_03.gif)
![[사회과학]%20●병자호란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B%B3%91%EC%9E%90%ED%98%B8%EB%9E%80_hwp_04.gif)
![[사회과학]%20●병자호란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B%B3%91%EC%9E%90%ED%98%B8%EB%9E%80_hwp_05.gif)
![[사회과학]%20●병자호란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B%B3%91%EC%9E%90%ED%98%B8%EB%9E%80_hwp_06.gif)
[사회과학] ●병자호란
다. 그러나 홍타이지가 칭제를 결심하고 조선에 의견을 구하는 사신을 보냈을 때 조정이 사신의 접견조차 거부하고, 즉위식에 참석한 조선 사신이 홍타이지에게 배례하지 않는 등 친명정책을 변경할 의사가 없는 것을 확인하자 명과의 전면전 전에 조선을 확실히 굴복시켜 배후의 위협을 제거하고자 1636년 12월 2일, 10만 군사로 조선을 침략했다. 동아시아 역사(歷史)에서는 명청교체기를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이며, 조선으로서는 짧은 전쟁 기간에도 불구하고 전쟁 포로로 수십 만의 백성이 청으로 끌려가 그 사회적 피해가 유례없이 막심하였다
개요
조선은 정묘호란 이후 후금과 형제의 관계를 맺었으나, 강화조약에 따라 명과의 관계에는 변함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