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o.co.kr 민사소송법상 당사자능력자 > milo4 | milo.co.kr report

민사소송법상 당사자능력자 > milo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ilo4

민사소송법상 당사자능력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7-02 17:56

본문




Download : 민사소송법상 당사자능력자.hwp





(2) 취지

이러한 단체에 대해 실체법에서와 같이 소송법에서도 그 주체성을 부인한다면, 그 단체를 상대로 소제기하려는 자는 단체의 구성원…(省略)

(3) 비법인사단

(4) 재단

1) 기부재산, 육영회, 대학교장학회, 유치원

2) 판례는 학교의 당사자능력을 부인하고 있다아 국·공립학교의 경우에는 국가·자치단체, 사립학교는 학교법인, 각종학교는 설립자 등 각 운영주체가 당사자능력자이다.

3. 민법상의 조합

(1) 결점

(2) 학설

1) 긍정설

2) 부정설

4. 조합과 비법인사단의 구별기준




레포트/법학행정








민사소송법상 당사자능력자
순서


민사소송법상 당사자능력자 , 민사소송법상 당사자능력자법학행정레포트 , 민사소송법상 당사자능력자



다. 따라서 사람은 생존하는 동안 당사자능력을 가지고(태아는 민법에서 태어난 것으로 보는 일정한 경우 외에는 원칙적으로 당사자능력이 없다), 법인이면 그 종류를 불문하고 모두 당사자능력을 갖는다.

Download : 민사소송법상 당사자능력자.hwp( 89 )


민사소송법상,당사자능력자,법학행정,레포트
민사소송법상 당사자능력자



설명
민사소송법상%20당사자능력자_hwp_01.gif 민사소송법상%20당사자능력자_hwp_02.gif
민사소송법상 당사자능력자

1. 민법상 권리능력자

민법상 권리능력을 가지는 자는 민사소송에 있어서 당사자능력을 갖는다(제51조). 이를 실질적 당사자능력자라고도 한다.

2. 법인이 아닌 사단 재단

(1) 의의

제52조는 법인이 아닌 사단이나 재단이 대표자 또는 관리인이 있으면 사단·재단의 이름으로 당사자가 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를 형식적 당사자능력자라고도 한다. 비록 해산되어도 청산절차가 종결되기 전에는 당사자능력을 갖는다.
전체 17,604건 6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ilo.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