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보건의료 비교 및 통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22 07:18
본문
Download : 남북한 보건의료 비교.hwp
(1) 진료권과 의사구역담당제
설명
순서
시․군 인민병원은 의뢰된 환자에 대한 진료와 함께 인근 지역 주민에 상대하여는 1차 진료를 동시에 담당하고 있다. 북한의 진료권은 행정구역과 일치되는데, 리(소진료권), 시․군(중진료권), 도(대진료권), 중앙으로 이어지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안주군 인민병원의 경우 리 인민병원에서 의뢰된 환자를 진료하는 것 이외에 리 인민병원을 순회하면서 새로운 기술을 전수하기도 하고 주민 대상의 보건교육을 담당하기도 한다. 리에는 리진료소 또는 리인민병원이 1차 진료를, 시․군에는 인민병원이 2차진료를, 도에서는 도중앙병원이 3차진료를 각각 담당하고 있다. 이처럼 북한의 의료전달체계는 환자의 의료수준에 따라 적절한 수준의 의료기관에서 진료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어 효율적으로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長點)이 있다.
남북한 보건의료 비교 및 통합
남북한의보건의료 통일한국의보건의료 남북한 보건의료 비교 및 통합
1. 남북한의 보건의료 상황과 기존의 통합대안 검토
남북한의보건의료 통일한국의보건의료 남북한 보건의료 비교 및 통합 / (남북한의 보건의료)
남북한의보건의료 통일한국의보건의료 남북한 보건의료 비교 및 통합 / (남북한의 보건의료)
다. 또한 상급병원은 단순히 의뢰된 환자에 대한 진료기능 뿐만 아니라 하급병원에 대한 기술지원 및 지도의 책임을 지고 있다.
3) 의료전달체계 및 보수지불체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남북한 보건의료 비교.hwp( 33 )
2. 통일한국의 보건의료-기본 원칙과 구상
북한은 체계화된 전형적인 사회주의적인 의료전달체계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일차진료의사의 의뢰 없이는 상급병원 이용 불가능하며, ‘교환병역서’라고 불리는 진료의뢰서가 있어야 상급병원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리진료소 또는 리 인민병원의 의사는 문지기(gatekeeper)의 역할을 담당하며, 전문진료가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 상급병원으로 후송하는 원칙을 철저히 지키고 있다. 희귀한 질환자나 고위 관료 등은 중앙의 4차 진료기관으로 후송하여 진료를 받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