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학생 운동이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6 05:59
본문
Download : 80년대 학생운동이 한국 사회에 .hwp
5월 18일 천주교 definition 구현사제단에 의해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의 진상이 은폐, 조작되었다는 사실이 폭로되면서 국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하면서, 학생운동은 ‘서울지역 대학생대표자협의회(서대협)’을 결성하며 결사항전의 자세를 가다듬기 스타트한다.
VI. conclusion
80년대 학생 운동이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1. 80년 - 83년, 폭압기
3. 87년 6월의 함성
다음날 6월 10일 전국에서 총 24만 명이 참가한 총궐기가 일어나며 “호헌철폐”, “직선제개헌”의 구호는 전국을 가득 메운다.
조진경, “청년이 서야 조국이 산다”, (서울: 백산서당, 1989).
2. 84년 - 86년 대중운동으로의 발전
2. 89년 제3기 전대협 - 임종석과 임수경
80년대 학생운동 한국사회
강신철, “80년대학생운동사”, (서울: 형성사, 1988).
1. 80년 - 87년까지의 평가 대강
3. 87년 6월의 함성
87년 1월 14일 치안본부 대공분실에서 서울대생 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했다. 고려대를 시발로 고문살인을 규탄하는 학생들의 시위가 확산되었고, 5공 정권은 4.13 호헌조치를 발표하며 전국민적인 분노를 자아내게 하였다. 이후 전국은 대중적인 호응 속에 6.23, 6.26에는 전국적으로 100만 이상이 시위에 나서게 된다된다.
김재희 외, “벗이여 어서 오게나”, (서울: 이웃, 1994).
목 차
80년대 학생운동 한국사회 / 참 고 문 헌
2. 운동의 일반적 성격
1. 88년 제2기 전대협 - 통일의 깃발을 올리며
순서
IV. 80년대의 학생운동 2 (후반기 88년 - 92년)
다. I. 연구목적 및 연구방향
V. 80년대 학생운동이 미친 effect
구로歷史(역사)연구소, “바로 보는 우리歷史(역사) 2”, (서울: 거름, 1990).
()
“구국의 강철 대오 전대협”, 월간 말 1993년 6월호 - 11월호.
2. 88년 - 92년까지의 평가 대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80년대 학생운동 한국사회 / 참 고 문 헌 강신철, “80년대학생운동사”, (서울: 형성사, 1988). 조진경, “청년이 서야 조국이 산다”, (서울: 백산서당, 1989). 김재희 외, “벗이여 어서 오게나”, (서울: 이웃, 1994). 구로역사연구소, “바로 보는 우리역사 2”, (서울: 거름, 1990). “80년대 학생운동 야사”, 월간 말 1990년 3월호 - 8월호. “구국의 강철 대오 전대협”, 월간 말 1993년 6월호 - 11월호. ()
설명
Download : 80년대 학생운동이 한국 사회에 .hwp( 55 )
II. 학생운동의 concept(개념)





III. 80년대의 학생운동 1 (전반기 80년 - 87년)
“80년대 학생운동 야사”, 월간 말 1990년 3월호 - 8월호.
3. 학생운동이란 무엇인가
1. 운동의 concept(개념)
3. 90년 제4기 전대협 - 모든 길은 광주로 통한다
4. 91년 제5기 전대협 - 분신정국
5. 92년 제6기 전대협 - 범청학련과 한총련
5월 27일에는 국민운동본부가 발족되고 6월 10일 국민대회를 선포하고 전국적인 총궐기를 준비한다. 결국 이러한 투쟁은 노태우의 6.29 선언을 낳게 하고 7월 9일 거행된 이한열 열사의 장례식은 시청 앞에 운집한 100만 대중의 모습으로 87년 6월 항쟁은 절정을 이룬다. 6월 1일 부터 6월 9일 까지 서대협 산하 총학생회장들은 6.10대회 총궐기를 호소하며 단식에 들어가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중 6월 9일 연세대생 이한열군이 전경의 직격탄에 맞아 쓰러져 혼수상태에 빠지는 일이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