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자원조사 및 experiment(실험)- 흙의 현장밀도 시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4 01:01
본문
Download : 토지자원조사 및 실험- 흙의 현장밀도.hwp
그리고 흙입자의 비중과 함수비, 최대건조밀도를 이용하여 상대다짐도를 구할 수 있는데, experiment(실험)결과 상대다짐도는 97.81%가 나왔다. 시험실에서든 현장에서든, 시험구멍에 모래가 자유낙하 될 때에 는 시험장소의 주변에 진동이 있어서는 안된다된다. 현장에서 최대입경이 5이하인 흙의단위중량을 모래치환법에 의해 결정하는 방법으로 흙입자와 입자사이의 물을 모두 포함한 경우의 습윤단위중량(습윤밀도)과 흙입자만을 생각할 경우에는 건조 단위중량(건조밀도)를 구한다. experiment(실험)결과 습윤단위중량은 2.13, 건조단위중량은 1.9가 나왔다. 진동이나 충격을 받으면 모래가 조밀하게 쌓이므로, 밀도가 더 커지기 때문이다. 현장에서 최대입경이 5이하인 흙의단위중량을 모래치환법에 의해 결정하는 방법으로 흙입자와 입자사이의 물을 모두 포함한 경우의 습윤단위중량(습윤밀도)과 흙입자만을 생각할 경우에는 건조 단위중량(건조밀도)를 구한다.
순서
V : 시험 통(Test jug) 안에 물의 무게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W3 : Test jug + 가득 채운 물의 무게
시험 현장에서 구멍(test hole)을 파고, 파낸 흙의 무게와 함수비, 건조밀도를 미리 검정한 표준사를 그 구멍에 채운 무게로 현장의 건조 밀도를 구하여 다짐 시공 현장의 상대다짐도(Relative Compaction)을 검사하여 다짐의 시공품질을
(1) 자유낙하된 표준사의 건조밀도 검정
W1 : Test jug의 무게
다짐작업을 현장에서 수행할 경우, 성토, 노상, 보초기층 등의 다짐정도를 설계표준 값과 비교하기 위해, 또는 규정된 단위중량이 확보되었는가를 확인할 필요가 있따 이때, 현장 건조단위 중량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샌드콘법(sand cone method), 고무풍선법(rubber balloon method), 핵밀도법(nuclear method) 등의 방법이 있따 그 중 이번 實驗에서는 샌드콘법을 이용한다.
토지자원조사 및 실험,흙의 현장밀도 시험,흙현장밀도,토지자원
▲ Background
W : 시험 통(Test jug) 안에 가득 채운 표준사 무게
토지자원조사 및 experiment(실험)- 흙의 현장밀도 시험





■ Introduction
■ Abstract 현장밀도시험은 제방, 도로 등의 시공 시 흙의 다짐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 로 현장에 시험공을 작은 크기로 굴착하여 교란되지 않은 상태의 시료에 대한 단위중량을 구하기 위한 현장실험이다.
통 안에 자유낙하된 모래의 무게는 재기 쉬운데, 통의 부피 측정(測定) 은 약간 복잡하다. 그리고 흙입자의 비중과 함수비, 최대건조밀도를 이용하여 상대다짐도를 구할 수 있는데, 실험결과 상대다짐도는 97.81%가 나왔다. ■ Introduction
여기서, γsand : 임의 hole에 자유낙하되어 쌓인 모래의 건조밀도
설명
W2 : Test jug + 가득 채운 표준사의 무게
평가할 수 있따
■ Abstract
현장밀도시험은 제방, 도로 등의 시공 시 흙의 다짐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 로 현장에 시험공을 작은 크기로 굴착하여 교란되지 않은 상태의 시료에 대한 단위중량을 구하기 위한 현장experiment(실험)이다.
Download : 토지자원조사 및 실험- 흙의 현장밀도.hwp( 60 )
다. 실험결과 습윤단위중량은 2.13, 건조단위중량은 1.9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