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o.co.kr [통상학(운송,실무)] TCR의 이용실태, 장단점 및 대책과 전망 > milo4 | milo.co.kr report

[통상학(운송,실무)] TCR의 이용실태, 장단점 및 대책과 전망 > milo4

본문 바로가기

milo4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통상학(운송,실무)] TCR의 이용실태, 장단점 및 대책과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3 15:55

본문




Download : TCR.hwp







2. TCR의 주요루트
4-2. TSR/TCR 해상운송 운임 비교
1. TCR의 개념

(단위 : US$, 일)
4). 참고 : 상기 운송비용과 소요기간은 러시아 철도부의 자료(data)이며, 실 제 운임과 소요기간은 이보다 많이 걸리는 것이 현재 일반   적인 상황임.
1) 출발지점 : 중국(China) 연운항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TCR 이용량

구 분TSR해상운송TCR비용시간비용시간비용시간부산-바르샤바1,10018일2,25028~31일1,590~1,71036일부산-루좌이카
1. TCR의 루트 및 이용량
중국(China) 철도를 이용하여 신장 자치구인 우루무치를 통과 후 국경지역인 알라산코와 카자흐스탄의 접경지역인 도스틱을 잇는 노선을 일컫는다

Download : TCR.hwp( 92 )


단위(US$/TEU)

2). 부산-모스크바 구간의 경우 모스크바 지역의 통과수수료(내국 화 물 요금적용)가 비싸 전체비용이 부산-바르샤바 구간(통과 화물 할인 요금 적용)보다 훨씬 비쌈.


I. 서론

순서
출처: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2. TCR의 비용
설명

3) 총 길이 : 10,870 km


4. 해상운송 VS TCR VS TSR
TCR (Trans China Railway):
5. 해상운송 VS TCR VS TSR
200420052006200744609 TEU67904 TEU94523 TEU125000 TEU

5. 중국(China)철도의 물류present condition 및 대책
3. TCR과 TSR의 장단점
TCR 展望

동북아시아 지역 내 항만에서 처리된 컨테이너 물동량은 1980년 700만TEU에서 1997년 4,800만 TEU로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 세계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량 중 동북아 항만이 차지하는 비중이 1980년의 20%에서 1997년에는 27%로 높아져 같은 기간 전 세계 평균증가율을 상회하는 등 동북아는 국제 물류수송에 있어 그 입지가 점차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동해시 http://www.dh.go.kr/open_content/main.htm
항로별부산/연운항/TCR/베를린부산(동해)/보스토치니/TSR/베를린부산/암스테르담/베를린운임3,1191,214,1,737
다.
TCR 루트 및 이용량 장단점 현황 대책 전망

글로벌윈도우 http://www.globalwindow.org/wps/portal/glw


III. conclusion
* 주 1). 20피트 1 컨테이너당 가격임
(벨라루스)967(500)17일1,56028일2,10035일부산-모스크바1,822(787)15일2,13030일1,95031일부산-타쉬켄트1,95023일2,05029일2,40026일


4. TCR의 비용
한국무역협회 http://db.kita.net/

4) 중국(China) 경유 중요 구간 : 연운항 -> 정조우 -> 란조우 ->
3). 상기 ( )는 블라디보스톡에서의 운송비용임.

TCR의 개념

[통상학(운송,실무)] TCR의 이용실태, 장단점 및 대책과 전망
5-1. 해상운송과 TCR , TSR비교
TCR MAIN ROUTE ( SILK ROAD ) :

           우루무치 -> 알라산코


러 철도부 철도 전문지 GEDOK 2000.4.19 일자

2) 도착지점 : 네덜란드, 로테르담
자료출처: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한국무역협회 http://db.kita.net/ 글로벌윈도우 http://www.globalwindow.org/wps/portal/glw 동해시 http://www.dh.go.kr/open_content/main.htm 러 철도부 철도 전문지 GEDOK 2000.4.19 일자
출처: 러 철도부 철도 전문지 GEDOK 2000.4.19 일자

TCR-9385_01.gif TCR-9385_02_.gif TCR-9385_03_.gif TCR-9385_04_.gif TCR-9385_05_.gif

4-1.노선 및 구간별 물류비용 비교(러시아 철도부 발표자료(data))
II. 본론

동북아 지역의 대유럽 국제물동량 운송방법은 해상운송과 아시아횡단철도를 이용하는 내륙운송이 있다 내륙운송의 대표적인 경로는 러시아의 보스토치니항에서 시작하여 유럽 각 지역으로 연결되는 시베리아횡단철도(TSR, Trans-Siberian Railway)와 중국(China)의 연운항에서 시작하여 카자흐스탄과 러시아를 경유하여 유럽 각 지역으로 연계되는 중국(China)횡단철도(TCR, Trans-China Railway)가 있다 부산을 기점으로 하여 유럽 각 주요도시까지의 운송거리를 경로별로 요점하면 표와 같다.
Total 17,604건 730 페이지

검색

REPORT 11(sv76)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milo.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milo.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