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창제와 보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2 17:01
본문
Download : 훈민정음 창.hwp
특히 언문은 <상말을 적는 상스러운 글자>라는 뜻으로 한자·한문에 대하여 한글을 낮추어 부르는 속칭으로 널리 쓰였다.
4. 훈민정음 창제의 반대
레포트 > 기타
훈민정음 창제 훈민정음의반포 훈민정음 창제의동기와 목적 훈민정음 창제의반대 / (훈민정음 창제)
2. 훈민정음의 반포
1. 훈민정음 창제
설명
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주시경(周時經)에 의해 만들어져 1913년부터 쓰이기 처음 , 1927년 한글사에서 펴낸 《한글》 잡지로부터 널리 퍼졌다.





1. 훈민정음 창제
훈민정음 창제와 보급
1443년(세종 25년)에 창제되고 46년 반포된 문자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언문(諺文)·언서(諺書)·반절(反切)·암클·아햇글·가갸글·국서(國書)·국문(國文)·조선글 등 여러 명칭으로 불렸다.
훈민정음 창제 훈민정음의반포 훈민정음 창제의동기와 목적 훈민정음 창제의반대
① 초성(첫소리) : 17자(ㄱ, ㅋ, ㆁ / ㄷ, ㅌ, ㄴ / ㅂ, ㅍ, ㅁ / ㅈ, ㅊ, ㅅ / ㆆ, ㅎ, ㅇ / ㄹ, ㅿ
※ 현재 쓰이지 않는 문자 : ㆁ, ㆆ, ㅿ, ㆍ
Download : 훈민정음 창.hwp( 86 )
3.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
▶ 훈민정음의 28자의 자모음 체계
순서
훈민정음 창제 훈민정음의반포 훈민정음 창제의동기와 목적 훈민정음 창제의반대 / (훈민정음 창제)
② 종성(가운뎃소리) : 11자 (ㆍ,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 종성(끝소리)은 초성 중 ㄱ, ㅇ, ㄷ, ㄴ, ㅂ, ㅁ, ㅅ, ㄹ의 8자를 이용한다. 한글이란 말의 뜻은 <한(韓)나라의 글> <큰 글> <세상에서 으뜸가는 글>이란 의미로, 세종대왕이 <정음>이라 부른 정신과 통한다. 그러다가 근대화과정에서 민족의식 각성과 더불어 국문(國文)이라고 부르다가 한글로 통일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