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족상속법] 호주 제도에 대한 비판적 견해 / 호주 제도의 폐지 찬성론 Ⅰ. 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6 01:58
본문
Download : [친족상속법] 호주제도에 대한 비판적 견해.hwp
그러므로 딸에게는 호주상속권이 주어졌지마는, 그것은 결코 일생 강제적으로 호주의 지위를 지켜야 할 것을 命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민법 제985조 1항 전단) 촌수가 같은 者 중에서는 혼인중의 출생자가 혼인외의 출생자보다 우선한다.순서
친족상속법 호주 제도에 대한 비판적 견해 / 호주 제도의 폐지 찬성론 Ⅰ. 서
호주제도의 폐지 찬성론 Ⅰ. 서론 가를 대표하는 호주는 우선 호주의 직계...
설명
Download : [친족상속법] 호주제도에 대한 비판적 견해.hwp( 14 )
호주제도의 폐지 찬성론 Ⅰ. 서론 가를 대표하는 호주는 우선 호주의 직계비속남자가 승계하게 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촌수가 다른 자가 있을 경우, 즉 子와 손이 있을 때에는 子가 우선한다. 그리고 딸은 일단 호주상속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아들의 경우와 달라 호주가 된 후에도 혼인을 하기 위해서는 언제든지 그 호주의 지위를 버리고 그 가를 폐가할 수 있는 것이다. Ⅱ. 본론 남자가 전혀 없을 경우에 비로소 가족인 직계비속녀자, 즉 딸이 호주상속을 하게 된다된다. 우선 딸의 경우에는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친족상속법] 호주제도에 대한 비판적 견해-108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5/%5B%EC%B9%9C%EC%A1%B1%EC%83%81%EC%86%8D%EB%B2%95%5D%20%ED%98%B8%EC%A3%BC%EC%A0%9C%EB%8F%84%EC%97%90%20%EB%8C%80%ED%95%9C%20%EB%B9%84%ED%8C%90%EC%A0%81%20%EA%B2%AC%ED%95%B4-1087_01.gif)
![[친족상속법] 호주제도에 대한 비판적 견해-108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5/%5B%EC%B9%9C%EC%A1%B1%EC%83%81%EC%86%8D%EB%B2%95%5D%20%ED%98%B8%EC%A3%BC%EC%A0%9C%EB%8F%84%EC%97%90%20%EB%8C%80%ED%95%9C%20%EB%B9%84%ED%8C%90%EC%A0%81%20%EA%B2%AC%ED%95%B4-1087_02_.gif)



[친족상속법] 호주 제도에 대한 비판적 견해 / 호주 제도의 폐지 찬성론 Ⅰ. 서
호주제도의 폐지 찬성론 Ⅰ. 서론 가를 대표하는 호주는 우선 호주의 직계...
다.(민법 제985조 1항 후단) 그리고 순위가 동일한 자가 여러 사람 있을 경우, 즉 형제가 여럿일 때에는 년장자가 우선하게 되어 있다.(이것을 대습상속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현행 가족법은 장남 중에서도 장남자중심사상에 투철하다. 이에 반하여 남자의 경우에는 호주상속권을 포기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일단 호주가 된 이상 호주의 지위를 떠날 수 없도록 되어 있다.(다만, 그 호주가 일가창립을 하였거나 分家한 호주인 경우에는 례외이다) 이상 호주상속에 상대하여 간단히 살펴 보았는데, 여자가 호주상속을 할 경우에는 그것은 임시적인 것이라고 밖에 할 수 없다.(민법 제985조 2항 본문) 그러니까 장남이 호주가 되는 것이다. 그 장남이 호주상속을 하지 않고 현 호주가 사망하기 前에 死亡하거나 결격자가 된 때에는 차남이 호주상속을 하지만, 그 장남에게 이미 아들이 있을 경우에는 그 호주권은 차남이 상속하지 않고 장남의 직계비속장남자 즉 맏아들(전호주에서 보면 맏손자)이 상속하게 된다된다. 딸의 경우는 아들이나 손자의 경우와 달라 이미 혼인하거나 입양을 하여 타가에 있을 경우에는 호주상속을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