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문화의 이해 - 문화로 읽는 북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8 22:03
본문
Download : 북한 문화의 이해 - 문화로 읽는 북.hwp
북한이 모든 방면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자주성과 집단성이다. 그들은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로 살아가고 있으며, 사회주의 이념에 따라 과거에 안주하지 않고 歷史는 계속하여 발전해 나간다는 이념 아래 모든 것을 자주적으로, 그들의 방식으로 이해하고 해석하여 받아들인다. 북한에 대한 편견은 그들에 대한 정보의 부재로 인한 것으로, 이것을 이해함으로서 북한의 문화와 남한의 문화 차이점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북한과 남한이 왜 이런 차이를 가지게 되었는지에 대하여 고민하여 보게 하는 책이다. 그들이 음악과 예술을 즐기고, 그것에 대하여 토론하고 그들이 보기에 더 나은 체제로 바꾸고 있다는 것 역시 놀라웠다. 우리는 개천절, 제헌절 등을 공휴일로 삼고, 그들은 김일성의 생일을 태양절로 하여 축제를 벌이고 그 시기를 원년으로 한 ‘주체연호’를 사용하기도 한다. 나는 그들이 온통 군사국가인 것처럼 착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우리는 60년 가까이 남과 북으로 분단되어 ‘그들’과 ‘우리’가 구분되어 지내왔고 그로 인해 다른 생활 방식을 갖게 되었다.
Download : 북한 문화의 이해 - 문화로 읽는 북.hwp( 17 )





이 책 文化(culture) 로 읽는 북한에서의 북한은 상당히 매력적이다.
이 책 ‘문화로 읽는 북한’은 북한과 우리나라의 다름에 대하여 그들의 미술과 음악, 언어, 생활문화 등을 강의 형식으로 풀어낸 책이다.
군대에서 북한에 대하여 속된 말로 사상 교육을 지겹게도 받고 온 나로서는 이 과목에 대하여 그리 큰 어려움이 없을 줄로만 느꼈지만 내가 알고 있던 것은 단지 그들의 군사체계였을 뿐이었다. 예술도 그렇고, 음악도 그렇다. 그들이 보기에 더 나은 방식으로 바꾸는 것이 내가 보기에도 나은 방식이라는 것은 더 놀랄 일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순서
이 책 ‘문화로 읽는 북한’은 북한과 우리나라의 다름에 대하여 그들의 미술과 음악, 언어, 생활문화 등을 강의 형식으로 풀어낸 책이다. 북한에 대한 편견은 그들에 대한 정보의 부재로 인한 것으로, 이것을 이해함으로서 북한의 문화와 남한의 문화 차이점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북한과 남한이 왜 이런 차이를 가지게 되었는지에 대하여 고민하여 보게 하는 책이다. 춘향전을 계급에 따른 것으로 해석하여 노동계급의 풍자를 없애고 매우 정상적이고 노동계급의 미학을 보여주는 인물로 그리며, 춘향은 직업여성의 참된 모습을 따라 일을 열심히 하는 모습으로 그리는 것은 매우 독특하였다. 그들은 모두가 같은 사상을 가졌고, 정해진 대로 생활하면 전혀 탈이 없으며, 우리와 거의 다르지 않게 삶을 즐기고 있다 북한은 실제로 이러한 文化(culture) 를 가졌고 매우 풍부하고 독창적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북한과 우리나라의 다른 점을 文化(culture) 적 상대성 관점으로 풀어낸 책으로서 매우 자세하고 독특한 북한 文化(culture) 를 잘 반영하고 있다 북한의 文化(culture) 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예술과 음악, 언어와 생활에 걸친 수많은 방면으로 남한과 다름을 비교하였다. 하지만 그의 이면에는 文化(culture) 자체를 모르는 사람도, 즐기지 못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북한 문화의 이해 - 문화로 읽는 북한
다.
북한 문화의 이해,문화로 읽는 북한,북한문화
하지만 그들이 예술과 음악을 즐기고 우리와 약간은 다른 방식의 언어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소통이 가능하지만, 그들과 우리의 체계는 다르다. 나는 아직 그들이 저녁 6시까지의 노동에 이어 집단생활로 하루를 끝마치는 것에서의 文化(culture) 란, 그들의 文化(culture) 를 사상과 결부시켜 집단화의 일부로, 수령에 대한 충성으로 향유하는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